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노동부, 실업급여 지급 두달 연장

지급요건 완화해 최대 1만명 혜택 기대

노동부는 경기침체가 계속되면서 재취업이 더욱 힘들어짐에 따라 실업급여 수급기간의 개별연장 기준을 5일부터 완화하기로 했다.

개별연장급여제는 실업급여 수급기간(90∼240일)이 끝나가지만 취업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실직자에게 급여 지급기간을 최장 60일까지 연장해 실업급여의 70%(최저 일 2만8천800원)를 지급하는 제도다.

4일 노동부에 따르면 기준 완화에 따라 퇴직 전 3개월의 평균임금이 하루 5만8천원 이하인 실업급여 수급자 가운데 부부합산 재산세(부부소유 주택ㆍ건물이 있는 경우)가 7만원 이하이면 개별연장의 대상에 포함된다.

또 부부 소유의 주택ㆍ건물이 없으면 부부의 재산 합계가 1억원 이하인 경우 수급기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퇴직 전 평균임금이 하루 5만원 이하인 자가 부부 소유의 주택ㆍ건물이 있으면 합산 재산세 3만원 이하, 부부 소유 주택ㆍ건물이 없으면 재산 합계가 6천만원 이하일 때 혜택을 볼 수 있었다.

다만 개별연장을 원하는 실직자는 ▲직업안정기관의 직업소개를 3차례 이상 받았지만 취업을 못한 때 ▲부양가족 중 18세 미만 미성년자나 65세 이상 고령자, 장애인, 1개월 이상 치료받을 환자가 있을 때 ▲직업훈련을 받지 못했거나 받고 있지 않은 때 등 기존에 규정된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노동부 관계자는 "실업급여 수급자 가운데 5천∼1만명 정도가 기준 완화로 혜택을 보는 범위에 들지만 중도에 취업을 할 수도 있어 정확한 규모는 추산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간 개별연장급여가 지급된 실업급여 수급자는 2005년 251명, 2006년 545명, 2007년 615명, 2008년 231명으로 전체 구직자 규모에 비춰볼 때 극소수에 불과했다.

노동부는 "지급 요건이 까다로웠던데다 개별연장급여제를 모르는 수급자가 많았기 때문에 활용이 저조했다"며 "필요하다면 고용보험기금 운용계획을 변경해 올해 18억원으로 배정된 예산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