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부 "한국, 'IMF 지원대상국 포함' 보도는 오보"
<WSJ>의 "한국, 브라질, 멕시코 포함" 보도 강력 부인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은 이날 오후 기자실에서 긴급 브리핑을 갖고 "IMF에서 거시경제가 괜찮아도 외화 유동성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나라들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인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그러나 멕시코, 브라질, 동유럽 등과 함께 우리나라가 여기에 포함될 것이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며 기자 개인의 생각"이라고 밝혔다.
최 국장은 "IMF가 스와프 형태로 돈을 빌려주는 SLS(Short Liquidity Swap Facility)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준비 중에 있지만 우리나라가 포함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면서 "IMF도 우리 외환보유액이 얼마나 되는지 잘 알고 있고 여러 차례 우리 대외부문의 건전성에 대해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어떤 경우에도 IMF 지원 등을 받기 위해서는 그 나라가 신청해야 하는데 IMF가 우리를 (프로그램 대상에) 집어넣을 가능성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은 IMF가 개발도상국들에 대한 자금 지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제금융을 받더라도 특별한 정책적 변화를 요구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으며, 여기에는 한국, 브라질, 멕시코와 일부 동유럽 국가들이 고려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 통신도 이날 IMF관계자의 말을 빌어, IMF가 신흥국가들을 대상으로 미국 달러와 현지통화간 스왑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이 제도는 단기적인 신용압박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11월까지 승인받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나 이 지원 규모가 1조달러가 될 것이란 시장의 관측에 대해선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로이터>는 IMF 지원대상국가와 관련, "그 대상은 경제는 양호하나 자금조달에 문제가 있는 일부 '우량' 신흥국이 될 전망"이라고 밝혔으나 <월스트리트저널>같이 한국 등을 직접 거명하지는 않았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