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 '유승민 몰아내기'로 급선회
결국은 '살아있는 권력' 손 들어줘
외형상 명분은 더이상 여권발 국정혼란이 계속되서는 안된다는 것이나 내용적으로는 아직 임기가 2년반이나 남은 '살아있는 권력'의 손을 들어주는 것이어서, 유 원내대표의 싸움은 더욱 힘들어지는 양상이다.
<조선일보>가 6일 사설을 통해 유 원내대표 사퇴를 촉구한 데 이어, 7일에는 <동아일보>도 사설을 통해 사퇴를 압박했다.
<동아일보>는 "여야 간 법안 협상과 처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이 원내대표"라면서 "정치권은 국회법 개정 문제로 논란을 벌이면서 아까운 시간과 정력을 낭비하고 국정을 겉돌게 했다"며 유 원내대표를 비난했다.
사설은 이어 "이제 국회법 개정안 문제도 결자해지(結者解之)한 만큼 유 원내대표는 불필요한 사태를 초래한 데 대한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며 "유 원내대표의 거취를 놓고 벌어지는 당내, 당청 갈등으로 보면 물러나는 것 외엔 달리 방법이 없다"며 즉각 퇴진을 촉구했다.
전날 사설을 통해 사퇴를 촉구했던 <조선일보>는 이날은 기사를 통해 "새누리당에선 6일 국회법 개정안 재의결 문제가 해소되면서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와 관련해 '더 이상 시간을 끌면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며 "친박(親朴)뿐 아니라 비박(非朴)계 일부에서도 '안타깝지만 물러나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는 얘기들이 나왔다"며 사퇴를 압박했다.
<조선>은 "일부 초·재선 의원들은 여전히 유 원내대표를 지지했지만 강도는 점차 옅어지는 분위기다. 김무성 대표가 '사퇴 불가피' 쪽으로 서면서 김 대표 주변의 비박계 의원들도 '이제는 유 원내대표가 사의를 밝혀야 한다'는 입장으로 돌아선 것으로 전해졌다"며 "유 원내대표의 사퇴에 반대 서명을 했던 재선(再選) 의원 20명 중 일부는 전날 유 원내대표를 만나 '우리도 너무 난감하다. 유 원내대표가 잘못한 것은 아니지만 현 상황에선 물러날 수밖에 없는 것 같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TK의 한 중진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 갈 거냐, 아니면 유 원내대표와 함께 갈 거냐'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맞고 있다"면서 "의원들은 박 대통령을 택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했다. 비박계 초선 의원은 "2주일 가까이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로 당의 내홍이 심화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유 원내대표의 책임을 묻는 것에 동의할 순 없지만 이제 상황을 마무리할 사람은 그밖에 없다"고 했다고 <조선>은 덧붙였다.
<중앙일보>도 이날자 사설 <지긋지긋한 거부권 정국 수렁에서 빠져나오자>를 통해 "이쯤에서 파국을 막고 갈등을 수습했어야 했다. 그게 상식이고 집권당으로서의 도리"라면서 "그런데도 여전히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 문제를 놓고 죽기 살기 식의 논쟁을 이어가고 있다"고 양측을 싸잡아 비난했다.
사설은 "대화는 단절된 채 유 원내대표를 사퇴시키기 위한 의원총회를 소집하네 마네 하며 계파 싸움을 계속 벌이는 모습은 집권세력으로서 최소한의 책임감마저 저버린 무책임한 처사"라면서 "국민이 언제까지 이런 모습을 지켜봐야 하는지 착잡하기만 하다"며 즉각적 정쟁 해소를 촉구했다. 우회적인 사퇴 촉구인 셈이다.
<중앙>은 별도 기사를 통해 청와대 관계자가 “유 원내대표가 사의를 표명하지 않은 것은 잘못된 선택”이라며 “시간이 갈수록 유 원내대표만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며 청와대의 최후통첩을 전하기도 했다.
이렇게 조중동이 유승민 사퇴 쪽으로 급선회한 반면, 대구경북지역 일부 언론은 유승민 방어에 나서 대조를 이뤘다.
<경북매일신문>은 이날자 칼럼 <유승민을 위한 `변명`>을 통해 "유승민은 대구·경북에서는 좀처럼 나오기 힘든 낭중지추(囊中之錐)의 인물이다. 그의 명민함과 곧바른 기질은 정치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귀한 자질"이라며 "그런 유승민이 불과 5개월여 만에 백척간두 위태로운 꼭대기에 올라섰다. 그 이유는 두 말할 필요도 없이 그의 송죽같이 꼿꼿한 `선비기질`에서 기인한다"며 유 원내대표를 적극 감쌌다.
칼럼은 이어 "의원총회에서 선출된 원내대표를 청와대에서 찍어내게 되는 불합리를 넘어서, 유승민이 원내대표 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은 새누리당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정치의 한계를 드러내는 불행한 일"이라며 "이번 사태로 여러 정치 지도자들의 이미지에 `협량(狹量)`의 문신이 남지 않을까 염려스럽다"이라며 박 대통령의 '속좁은 정치'를 비판하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