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 여론조사] 6.8%만 "대통령-정부 믿는다"
91.2% "세월호 진상규명 비관적", 85.5% "촛불시위 공감"
또한 대한민국에 대한 자긍심도 붕괴하는 등, 세월호 참사후 사회 지도층이 발뺌과 기득권 유지에만 급급해 하면서 미래세대의 분노와 절망감이 급팽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가 그 어떤 정치, 경제적 위기보다 심각한 불신의 위기 국면으로 빠져들고 있음을 보여주는 적신호다.
20일 <한겨레>에 따르면,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와 참교육연구소가 지난 7월15~25일 서울, 경기, 인천 15개 고교의 2학년생 1천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우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자긍심을 느낀다’는 응답자는 세월호 참사 전 61.9%에서 참사 이후 24.9%로 급감했다.
‘내가 위기에 처할 때 국가가 나를 지켜줄 것이라는 믿음’ 역시 46.8%에서 7.7%로 급락했고, ‘부정부패가 철저히 감시되고 사라지고 있다는 믿음’이 있다는 답은 6%에 불과했다.
특히 ‘사회지도층이 리더로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는 믿음’은 6.8%에 그쳤다.
구체적으로 대통령과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6.8%, 정치권 신뢰도는 5.4%로 곤두박질쳤고, 언론에 대한 신뢰도 역시 12.4%에 그쳤다.
가장 신뢰할 만한 정보획득 수단을 묻는 질문에 대해선 응답자의 절반(51.4%)은 ‘어떤 것도 신뢰가 가지 않았다’고 답했고, 20%는 트위터·페이스북 등 SNS를 꼽았다. 방송(12.8%)과 인터넷(10.4%)이 그 뒤를 이었고, 신문은 2.2%에 불과했다.
세월호 참사 진상이 제대로 밝혀질지에 대해서도 비관론 일색이었다.
91.2%는 ‘철저하고 성역 없는 진상규명’이 ‘비관적’이라고 답했다. ‘지위고하를 막론한 책임자 처벌’과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확립’ 역시 각각 86.2%, 86.5%가 ‘비관적’이라고 답했다.
세월호 피해자와 유족들에 대한 보상 역시 ‘비관적’이라는 답이 80.1%였다.
세월호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촛불시위·서명운동에 대해 응답자 대부분(85.5%)이 ‘자연스러운 시민들의 행동으로 공감한다’고 답했다.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모습으로 공감하지 않는다’는 답은 14.5%에 그쳤다.
세월호 참사를 교과서 등 교육 내용에 포함시켜 기억하도록 하는 제안에 대해선 56%가 찬성했고, ‘(참사일인) 4월16일을 기념일로 지정해 수업 또는 행사’ 및 ‘세월호 참사 추모관, 박물관 건립’ 등에 대해서도 각각 52.9%, 58.4%가 찬성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