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간 정부, 산사태 하루만에 '2500명 집단무덤' 선언
구조작업 포기하고 매몰자 전원 사망 선언
아프가니스탄 동북부 바다크샨주(州)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사태로 최대 2천500명의 주민이 매몰된 가운데 정부가 생존자 수색과 구조 작업을 중단하고 피해 지역을 '집단무덤'으로 선언했다.
산사태 현장을 찾은 샤 왈리울라 아디브 주지사는 3일(현지시간) "집들이 수m 아래 파묻혀 더는 수색과 구조 작업을 계속할 수 없다"며 "이 지역을 집단무덤으로 만들겠으며 피해자들을 위해 기도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2일 발생한 산사태로 최대 2천500명이 매몰된 것으로 알려졌다. 확인된 사망자 수는 약 300명이며 수백 명이 늘어날 수도 있다고 정부 당국자는 말했다.
영국 BBC 방송은 산사태가 발생한 후 인근 지역 주민 600여명이 구조 작업을 위해 현장을 찾았다가 추가 산사태로 실종됐다고 전했다.
이후 인근지역 주민과 구호요원이 삽 등의 도구로 생존자 수색에 나섰으나 아무 소득이 없었다. BBC는 사고현장에서 수색을 위한 어떠한 진지한 노력도 이뤄질 것 같지 않다는 현지 특파원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은 4일을 산사태 피해자를 기리는 추모일로 선포하고 애도를 표했다.
이번 산사태로 이재민 4천명이 발생해 피해 현장 주변에 설치된 임시 천막에 거주 중이다.
한 이재민 여성은 "창가에서 점심을 먹다가 갑자기 굉음을 들었고, 그 후에 산사태가 마을을 덮친 것을 알게 됐다"며 "가족들에게 도망치라고 소리쳤지만 부모님과 삼촌 등 5명을 잃었다"고 슬퍼했다.
사고 이틀째인 이날 유엔아프가니스탄지원단(UNAMA)과 아프가니스탄 적신월사를 비롯한 지원단체가 이재민을 위한 구호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텐트와 물, 음식 등의 구호용품들이 도착하고 있다.
UNAMA는 산사태로 집을 잃거나 추가 산사태 위험으로 피신한 이재민 700가구를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UNAMA 관계자는 "물과 음식, 의료지원, 긴급 대피처가 추가로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지역에는 수일 내로 강력한 산사태가 또 일어날 가능성이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태다.
산사태 현장을 찾은 샤 왈리울라 아디브 주지사는 3일(현지시간) "집들이 수m 아래 파묻혀 더는 수색과 구조 작업을 계속할 수 없다"며 "이 지역을 집단무덤으로 만들겠으며 피해자들을 위해 기도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2일 발생한 산사태로 최대 2천500명이 매몰된 것으로 알려졌다. 확인된 사망자 수는 약 300명이며 수백 명이 늘어날 수도 있다고 정부 당국자는 말했다.
영국 BBC 방송은 산사태가 발생한 후 인근 지역 주민 600여명이 구조 작업을 위해 현장을 찾았다가 추가 산사태로 실종됐다고 전했다.
이후 인근지역 주민과 구호요원이 삽 등의 도구로 생존자 수색에 나섰으나 아무 소득이 없었다. BBC는 사고현장에서 수색을 위한 어떠한 진지한 노력도 이뤄질 것 같지 않다는 현지 특파원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은 4일을 산사태 피해자를 기리는 추모일로 선포하고 애도를 표했다.
이번 산사태로 이재민 4천명이 발생해 피해 현장 주변에 설치된 임시 천막에 거주 중이다.
한 이재민 여성은 "창가에서 점심을 먹다가 갑자기 굉음을 들었고, 그 후에 산사태가 마을을 덮친 것을 알게 됐다"며 "가족들에게 도망치라고 소리쳤지만 부모님과 삼촌 등 5명을 잃었다"고 슬퍼했다.
사고 이틀째인 이날 유엔아프가니스탄지원단(UNAMA)과 아프가니스탄 적신월사를 비롯한 지원단체가 이재민을 위한 구호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텐트와 물, 음식 등의 구호용품들이 도착하고 있다.
UNAMA는 산사태로 집을 잃거나 추가 산사태 위험으로 피신한 이재민 700가구를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UNAMA 관계자는 "물과 음식, 의료지원, 긴급 대피처가 추가로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지역에는 수일 내로 강력한 산사태가 또 일어날 가능성이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