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고통' 역대 세번째, 내년은 더 심각
경제고통지수, 카드대란-금융위기이후 최악
28일 한국은행, 고용노동부, 통계청 등의 자료를 보면 올해 들어 9월까지 실질임금 증가율은 -3.49%다. 역대 3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실질임금은 `명목임금/소비자물가지수X100'이다. 실질임금 증가율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 -9.31%로 최저치였다, 금융위기 때인 2008년에는 -8.54%로 떨어졌다.
1994년부터 2010년까지 이들 3개년을 제외한 다른 해의 실질임금 증가율은 0.98(2001년)∼8.16%(2002년)다. 실질임금이 모두 올랐다는 뜻이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경제고통지수는 7.5에 달했다. 카드대란 직후인 2001년,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았다. 경제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실업률을 더해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한 것이다.
올해의 경제고통지수는 1∼10월 평균소비자물가 상승률 4.0(%)과 실업률 3.5(%)를 더해 산출했다.
경제고통지수가 가장 높았던 해인 2001년에는 8.1(물가 4.1+실업률 4.0)이었다. 이후 2008년에는 7.9(물가 4.7+실업률 3.2)로 두 번째였다.
실질임금 증가율과 가계고통지수 모두 소비자물가지수를 기본으로 산출하는 것이어서 올해 들어 가파르게 치솟은 물가가 가계고통의 주범인 셈이다.
가계고통은 내년 상반기에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경기가 둔화하면서 물가상승률이 진정되지 않거나 실업률이 악화할 개연성이 크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청년층 체감실업률은 20%를 넘어섰다. 정부, 한국은행, 각종 연구소는 내년도 경제성장률을 당초 예상보다 이미 낮춰잡은 상태다.
현대경제연구원 주 원 연구위원은 "가계는 소득이 있어야 돈을 쓰든지 아끼든지 할 텐데 아예 소득이 줄면 선택의 여지가 없다. 물가가 비싸면 덜 사면 되지만 실제소득이 줄어들면 구매 자체가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내년도 경제성장률이 둔화해 실업률이 높아지면 가계가 느끼는 고통은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