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생산자물가 '역대최고' 폭등, '글로벌 인플레' 공포 확산
미국-한국도 물가 급등, 최악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나와
14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9월 중국의 PPI는 작년 동월 대비 10.7% 상승했다.
이 같은 상승률은 전달의 9.5%를 뛰어넘어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96년 이후 25년 만에 최고로, 사실상 역대 최고다.
업종별로는 석탄 출고가가 작년 동월 대비 74.9% 급등한 것을 비롯해 석유·천연가스 채굴(43.6%), 석유·석탄 등 연료 가공(40.5%), 철 및 합금을 뜻하는 흑색금속(29.4%), 화학원료(25.5%) 등 에너지와 원자재값이 예외없이 폭등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9월 중국의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거의 26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높아짐에 따라 세계 인플레이션 위험이 커지고 사업자들이 높은 가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압력이 가중되게 됐다"고 지적했다. 통상적으로 생산자물가는 두세달후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전이된다.
인플레이션보다 더 악성인 스태그플레이션(저성장 고물가)로 발전할 것이라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판테온 매크로 이코노믹스 소속 경제학자 크레이그 보텀은 <블룸버그>에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제조업 분야의 스태그플레이션 충격으로 보인다"면서 "중국이 전 세계 공급망에 깊게 연관돼있는 만큼 가격 상승은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에너지 (소비) 억제와 치솟은 원자재값의 여파로 중국의 월간 생산자물가가 사상 최고치까지 올랐다"며 "이는 이미 공급망 병목 현상으로 고전 중인 업계에 압력을 더하게 될 것"이라며 중국 경제성장률 하락을 전망했다.
IMF(국제통화기금)은 최근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8.0%로 0.1%포인트 내렸다. 그러나 골드만삭스는 8.2%에서 7.8%로 더 크게 낮췄다.
미국의 9월 CPI(소비자물가지수)도 작년 동월보다 5.4% 상승했다. 미국 CPI가 5개월 연속 5%대 상승률을 이어가면서 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고 미연준의 통화환수와 금리인상도 앞당겨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연준의 금리정책이 글로벌 자산거품 붕괴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전망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물가도 폭등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의 '2021년 9월 수출입물가지수' 동향에 따르면, 9월 수입물가는 전년 동월대비 26.8% 폭등했다. 7개월 연속 상승이다.
전월 대비로는 2.4% 상승, 5개월째 상승행진을 이어갔다.
수입물가지수는 124.60을 나타내면서 지난 2014년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