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진 "문재인 정무수석때 '법무법인 부산', 공기업과 계약"
'부산'측 "법무법인 수임액은 늘기도 하고 줄기도 하는 법"
조 의원은 이날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청와대 민정수석이 전화를 해 '신중히 처리해달라'고 하면, 저축은행장을 단단히 잡아 넣으란 말인가? 당연히 그건 봐주라는 게 아닌가?"라며 "봐주는 바람에 철저하게 조사가 안돼 현 저축은행 사태까지 온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저축은행 사태는 2003년 그때 신중하게 처리를 잘 했으면 제2의 저축은행 사태는 안 벌어졌을 것"이라며 "일면식도 없고 전화 한 통화 안 했던 사람인데 민정수석이 국장에게 전화를 해 신중히 처리해달라고 말하는데 외압을 안 받는 사람이 어딨나"라고 반문했다.
그는 그러면서 문 후보가 대표변호사로 있던 '법무법인 부산'의 수임료를 거론하며 "2002년 13억4천에서 2005년 41억으로 3배 가까이 뛴다. 2005년에 수많은 건을 수임한 것도 영향이 있겠고 수임랭킹 2위를 한다. 2002년 대통령이 민정수석으로 임명했는데, 공교롭잖나"라며 "2009년 노무현 대통령이 대통령을 그만두고 14억으로 떨어진다"라고 의혹 제기를 했다.
그는 더 나아가 "문 후보가 정무특보시절 <법률신문>에 의하면 '법무법인 부산'은 공기업과 계약을 한다. 이전에는 거의 공기업들과 한건도 계약을 못했던 '법무법인 부산'이 주택공사, LH, 무학, 포스코건설, 한국도시가스, 부산KTX 등과 한다"라며 "'법무법인 부산'이 노무현 대통령이 되기 전에는 실력이 고만고만하다가 나중에 훌쩍 늘었나?"라고 거듭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2003년 문재인 후보가 유병태 국장에게 전화해서 그것 좀 신중하게 처리하라,고 했기에 지금 유병태 국장이 감옥에 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인 정재성 '법무법인 부산' 대표변호사는 "유병태 국장은 뇌물을 받아 감옥에 갔다"며 "법무법인 수임액은 늘기도 하고 줄기도 한다. 주된 매출액 증가 원인은 부산저축은행이고 매출액 증가가 바로 수임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