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언론들 "안이한 정부때문에 경남도 무너졌다"
'구제역 감염'에 MB정부 맹비난, "그렇게 백신 요구 묵살하더니"
"백신이 모자라 접종을 늦추는 바람에 구제역이 닥쳤다니 답답한 노릇이다"(국제신문)
"청정 경남마저… 축산농 억장 무너진다"(경남신문)
결국 경남까지 구제역에 감염되자 25일 PK(부산경남) 언론들이 일제히 정부의 무능과 무사안일을 질타하고 나섰다. 이들 언론은 특히 경남 축산농들이 그동안 여러차례 정부에게 백신을 공급해달라고 호소했으나 정부가 이를 묵살해온 대목을 집중 부각시키며 MB정부를 강도높게 비판하고 있다.
<부산일보>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6일부터 소와 돼지를 대상으로 구제역 백신접종을 하면서 경남도를 비롯한 전남·북과 제주 등 청정지역을 우선 대상으로 하지 않고 시·도별로 일률적으로 공급했다. 이 때문에 경남은 소 32만 마리의 접종은 마쳤지만 구제역 확산 속도가 소에 비해 수천 배나 빠른 돼지 129만 마리는 10% 정도만 백신접종이 이뤄졌다. 특히 구제역이 발생한 김해시 주촌면 양돈농가 2곳은 백신접종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상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정부가 청정지역인 경남에 백신을 우선 공급하지 않고 시·도별로 일률적으로 공급하는 바람에 김해지역 돼지가 감염에 방치되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라고 신문은 정부책임을 강조했다.
신문에 따르면, 정부의 사후약방문식 백신처방은 경남지역 축산농민을 더욱 분노하게 하고 있다. 정부는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난 24일에야 백신 17만 마리 분을 추가로 공급해 김해지역 돼지에 대한 접종을 실시했고, 이달 말까지 100여만 마리에 대한 접종을 마치겠다고 밝히는 등 뒷북을 치고 있다.
대한양돈협회 이재식 김해시지부장은 <부산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청정지역을 사수할 수 있도록 경남에 우선적으로 백신을 공급해 달라고 정부에 여러 차례 요청했지만 묵살됐다"면서 "그나마 공급된 백신도 감염 속도가 훨씬 빠른 돼지가 아니라 소 위주로 공급됐다"고 분노했다.
<국제신문>도 이날 여러 건의 기사 외에 사설을 통해 정부를 질타했다.
사설은 "이번 사태를 보면 정부의 안일한 대처를 질타하지 않을 수 없다"며 "구제역 돼지가 확인된 김해시 주촌면 양돈농가의 경우 백신 부족으로 1차 예방접종에서 제외됐다. 돼지는 소에 비해 구제역 전파·감염 속도가 훨씬 빠르다. 더구나 김해는 경남에서 돼지를 가장 많이 키우는 곳 아닌가. 이런 곳에 백신이 모자라 접종을 늦추는 바람에 구제역이 닥쳤다니 답답한 노릇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돼지의 구제역 백신 접종률은 고작 41%"라고 개탄했다.
사설은 "정부는 먼저 백신 확보대책부터 세워야 한다. 구제역 대응방식을 살처분 일변도에서 백신 예방접종으로 선회하겠다고 마음먹었다면 물량비축과 공급처 확보에 나서야 하는데 동작이 너무 굼뜨다. 구제역 백신은 접종후 항체 형성기간만 14일 걸린다. 지금 서둘러도 늦다"라며 "태국이나 대만은 이미 구제역 백신의 대량 제조시설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구제역 백신의 국내 생산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문제는 실천이다. 구제역이 온 나라를 덮친 뒤에는 백약이 무효"라며 태국이나 대만보다 뒤처진 정부를 질타했다.
이같은 PK언론들의 강도높은 대정부 질타에 대해 정부여당은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가뜩이나 지난 6월 지방선거때 심상찮은 민심 이반이 목격된 터에 또다시 지역민심을 자극하는 대형악재가 터지면서 내년 총선·대선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에 구제역이 발생한 경남 김해에서는 석달 뒤인 오는 4월27일 재보선이 예정돼 있어 정부여당을 더욱 긴장케 하고 있다.
구제역 대재앙이 빠르게 최대 정치·사회문제로 급부상하는 형국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