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반도체법 통과 안시키며 잘사니즘?", 이재명 첫직격
처음으로 이재명 직격, 본격적 대선행보 시작?
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이 대표의 교섭단체 연설을 들은 뒤 만난 기자들이 소감을 묻자 "한마디로 말과 행동이 너무나 다르다. 반도체특별법을 빨리 통과시켜야 하는데 지금 안 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이 대표가 '주4일 근무'를 주장한 데 대해서도 "현재 근로 시간을 더 줄여야 한다는 게 국가적으로 가장 중요한 문제인가, 아니면 지금 너무나 많은 기업이 해외로 탈출하는 게 문제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해외 기업이 투자를 안 하고 우리 기업이 많이 탈출하고 있다"며 "주4일제까지 법제화하면 이게 우리 국민과 경제, 젊은이들 일자리에 도움이 될지 안 될지 깊이 숙고해달라"고 힐난했다.
탄핵후 보수후보 가운데 지지율 1위로 급부상한 김 장관이 이 대표를 직격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대권행보를 본격화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선 "대통령이 저한테 상의했으면 적극적으로 말리고 반대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계엄 선포권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 중 하나이지만 그것이 적합하지 않았는지는 따질 수 있다"면서 "내란이라고 하는 데는 법률적인 판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야권에서) 한덕수 총리나 내각에 대해서도 전부 내란 동조자들이라고 하는데 그런 말은 망언"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대통령이 복귀하는 것이 제일 좋지만, 적어도 총리라도 빨리 돌아와야 한다"며 "장관이라도 빨리 임명해야지 나라가 정상적으로 돌아가지 않겠나"라며 한덕수 총리의 대통령 권한대행직 조기 복귀를 희망했다.
그는 지난 3일 이명박 전 대통령과의 회동에 대해선 "신년 이사를 간 것"이라며 "앞으로 대통령을 하는 분들이 재임 중이나 끝나고 나서 감옥에 가는 불행한 일은 더 이상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씀드렸고, 거기에 대해서는 (이 전 대통령도) 공감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계엄 및 대선 등 현안에 대한 얘기는 일절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수 잠룡들이 앞다퉈 개헌 주장을 하는 데 대해선 "대한민국 헌법은 위대한 헌법"이라며 "문제가 있다면 차근차근 고쳐야지 국가 전체를 이렇게 만들어놓고 '헌법이 문제다'라고 하는 건 다시 한번 돌아봐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