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방어선' 붕괴? 경남 첫 구제역 의심신고
최대 축산단지 상주 등 속속 감염, 정부 갈팡질팡에 축산업 궤멸
경남도는 23일 김해 주촌면의 한 양돈농가에서 구제역 의심신고가 처음으로 접수됐다고 밝혔다.
경남도에 따르면, 해당 농가에 대한 임상 관찰 결과 사육되는 돼지들이 기립 불능과 함께 수포가 형성되는 증상을 보였으며, 39마리의 새끼 돼지가 집단 폐사했다.
이에 따라 도는 농장주 등 관련자와 가축의 이동 제한 조처를 내리고 긴급 방역을 하는 한편 이날 밤늦게 반경 500m 이내 농가의 돼지 6천500여마리에 대해 예방 살처분을 실시하기로 하는 한편,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정밀 검사를 의뢰했다. 검사 결과는 오는 24일 오후에 나올 예정이다.
맹형규 행정안전부장관은 이날 오후 김해시청에서 열린 부산, 울산, 경남지역 구제역 대책회의에서 “경남은 국내 유일의 구제역 청정지역이다. 6·25 전쟁 때 낙동강 전선을 지킨 각오로 구제역을 지켜 달라”고 당부했으나, 정부 바람과는 달리 낙동강 방어선도 붕괴직전인 양상이다.
이에 앞서 22일에는 국내 최대규모 한우산지인 경북 상주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했다. 이로써 국내 3대 축산단지 가운데, 충남 홍성을 제외한 강원 횡성과 경북 상주 두 곳이 구제역에 뚫리면서 국내 한우산업 기반이 붕괴 위기를 맞고 있다.
앞서 유정복 농림부 장관은 "경북에서 상주와 경주가 한우 사육 두수가 가장 많은 지역인데 경주는 뚫렸지만 상주는 막았다"며 방역 모범 사례로 꼽은 바 있다.
주말에 상주를 비롯해 경북 문경 등 5곳에서 구제역이 새로 발생하면서 구제역 발생지역은 7개 시ㆍ도, 61개 시ㆍ군, 141곳으로 늘었고, 살처분 규모도 22일 현재 4천535농가, 239만7천439마리로 집계됐다.
정부가 구제역 피해 집계 규모를 줄이기 위해 구제역이 걸린 가축만 살처분하도록 방침을 바꿨으나, 구제역은 정부를 비웃듯 무서운 속도로 확산되면서 축산업을 완전 붕괴위기로 몰아가는 형국이다.
정부는 현재 소에 대해선 예방접종을 완료했으나 돼지에 대해선 겨우 40%만 예방접종을 한 상태여서, 맹위를 떨치는 구제역 앞에서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정부는 초기에 '예산부족'을 이유로 소만 접종을 하고 감염속도가 더 빠른 돼지는 접종대상에서 예외로 했다가 200여만 마리의 돼지가 구제역으로 살처분되는 등 구제역이 돼지 축산업을 붕괴 위기에 몰아넣자 뒤늦게 돼지들에 대한 예방접종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