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 축산연구소까지 구제역 의심신고...칡소 위기
한달간 합숙하면서 '철통방어' 해왔는데...
한우육종개량사업과 토종가축의 혈통보존을 담당하고 있는 강원도 횡성의 축산기술연구센터에서도 19일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돼 방역당국을 경악케 하고 있다.
이곳에 구제역 양성 판정이 내려질 경우 토종가축의 혈통 보존을 위해 15년 이상 공들인 칡소 83마리가 한꺼번에 살처분되면서 그동안의 노력이 공염불이 될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하기 때문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9일 "강원도 횡성의 축산기술연구센터에서 사육 중인 암소 2마리가 구제역 의심 증상을 보여 현재 정밀 검사를 진행 중"이라며 "검사 결과는 20일 오전께 나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축산기술연구센터에는 한우육종개량과 고급육생산을 위해 한우 487마리가 시험사육되고 있으며, 이중에는 토종가축의 혈통 보존을 위해 15년 이상 공을 들여 복원한 칡소 83마리도 포함돼 있다.
특히 축산기술연구센터 직원들은 지난해 12월 22일부터 현재까지 한달 가까이 합숙중이고 사료도 외부에서 반입하지 않고 자체 보관용으로 해결하는 등 철통방어를 해온 까닭에 큰 충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곳에 구제역 양성 판정이 내려질 경우 토종가축의 혈통 보존을 위해 15년 이상 공들인 칡소 83마리가 한꺼번에 살처분되면서 그동안의 노력이 공염불이 될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하기 때문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9일 "강원도 횡성의 축산기술연구센터에서 사육 중인 암소 2마리가 구제역 의심 증상을 보여 현재 정밀 검사를 진행 중"이라며 "검사 결과는 20일 오전께 나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축산기술연구센터에는 한우육종개량과 고급육생산을 위해 한우 487마리가 시험사육되고 있으며, 이중에는 토종가축의 혈통 보존을 위해 15년 이상 공을 들여 복원한 칡소 83마리도 포함돼 있다.
특히 축산기술연구센터 직원들은 지난해 12월 22일부터 현재까지 한달 가까이 합숙중이고 사료도 외부에서 반입하지 않고 자체 보관용으로 해결하는 등 철통방어를 해온 까닭에 큰 충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