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부도 위험, IMF직후보다 더 커져"
LG경제硏 "이자도 못 갚는 상장사, 7년 동안 두배 급증"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는 상장사가 7년전인 1999년에 비해 2배로 늘어나는 등 기업이익의 질이 급락함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이 대규모 부도 사태를 맞을 위험이 외환위기 직후보다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부채비율은 낮아지고 있는 반면 유가급등과 원화강세에 건설경기 부진까지 겹치면서 잠재적 부실기업들의 영업이익이 더 크게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기업들의 경영구조는 더욱 취약해졌다는 분석이어서,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하반기 및 내년 국내 경기전망과 맞물려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잠재적 부실기업 99년 71개서 올 1백46개로 급증
14일 LG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기업 부실화 위험 높아지고 있다'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유가증권 상장사 가운데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 1배 미만'의 회사는 99년 당시 71개에서 올 상반기 1백46개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자보상배율이란 영업이익이 이자의 몇배인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낮을수록 부실 위험이 크다는 뜻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배에도 못 미치면 '잠재적 부실기업'으로 분류된다.
연구원은 “1백46개 잠재적 부실기업들의 이자보상배율 중간값은 -1.2배로, 99년 당시 -0.6배보다 더 떨어졌으며, 이는 잠재적 부실기업들 가운데 중간에 위치한 기업의 경우 영업적자액만큼을 다시 빌려 이자로 갚아도 모자란다는 뜻”이라며 “이는 이자비용이 늘어나기보다는 그만큼 영업이익이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실제 이들 1백46개 기업의 부채비율 중간값은 99년 당시 6백28%에서 올 상반기 1백15%로 오히려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당시보다 금리도 크게 낮아졌음을 고려할 때 이자가 줄어드는 속도보다 잠재적 부실기업들의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며 “고유가와 원화강세, 경기회복세 둔화 등 대내외 악재들이 잠재적 부실기업들에게 상대적으로 큰 충격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중소-지방 건설사 연쇄도산 위기 직면"
연구원은 “최근의 건설경기 둔화도 기업들의 부도 위험을 높이고 있다”며 “건설업을 중심으로 올 상반기 중 전년대비 39% 늘어났던 일반기업의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액은 7월 들어 전월대비 67%나 급감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최근 건설경기가 빠르게 냉각되면서 금융기관들이 건설업에 추가 자금 제공을 꺼리고 있다"며 "건설경기 부진에 금융경색까지 맞물리면서 재무구조가 취약한 중소 및 지방 건설사들을 중심으로 도산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 도산 현실화될 경우 경제적 충격 일파만파
연구원은 "이처럼 잠재적 부실기업들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확대됨에 따라 기업 도산이 현실화될 경우 경제적 충격이 과거보다 더 클 수 있다는 것은 한국경제가 안고 있는 심각한 위기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며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연구원은 “상장사 전체 매출액 가운데 잠재적 부실기업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3년 8.0%에서 올 상반기 18.8%로 높아졌으며, 시가총액 비중은 4.3%에서 14.7%로 확대됐다”며 "아직 기업들의 도산이 아직 현실화되지는 않았지만 도산 가능성이 높은 잠재적 부실기업들의 재무상태는 더 악화된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건설업을 비롯해 최근 기업 도산이 늘고 있거나 잠재적 부실기업이 다수 포함된 분야를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부채비율은 낮아지고 있는 반면 유가급등과 원화강세에 건설경기 부진까지 겹치면서 잠재적 부실기업들의 영업이익이 더 크게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기업들의 경영구조는 더욱 취약해졌다는 분석이어서,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하반기 및 내년 국내 경기전망과 맞물려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잠재적 부실기업 99년 71개서 올 1백46개로 급증
14일 LG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기업 부실화 위험 높아지고 있다'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유가증권 상장사 가운데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 1배 미만'의 회사는 99년 당시 71개에서 올 상반기 1백46개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자보상배율이란 영업이익이 이자의 몇배인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낮을수록 부실 위험이 크다는 뜻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배에도 못 미치면 '잠재적 부실기업'으로 분류된다.
연구원은 “1백46개 잠재적 부실기업들의 이자보상배율 중간값은 -1.2배로, 99년 당시 -0.6배보다 더 떨어졌으며, 이는 잠재적 부실기업들 가운데 중간에 위치한 기업의 경우 영업적자액만큼을 다시 빌려 이자로 갚아도 모자란다는 뜻”이라며 “이는 이자비용이 늘어나기보다는 그만큼 영업이익이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실제 이들 1백46개 기업의 부채비율 중간값은 99년 당시 6백28%에서 올 상반기 1백15%로 오히려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당시보다 금리도 크게 낮아졌음을 고려할 때 이자가 줄어드는 속도보다 잠재적 부실기업들의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며 “고유가와 원화강세, 경기회복세 둔화 등 대내외 악재들이 잠재적 부실기업들에게 상대적으로 큰 충격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중소-지방 건설사 연쇄도산 위기 직면"
연구원은 “최근의 건설경기 둔화도 기업들의 부도 위험을 높이고 있다”며 “건설업을 중심으로 올 상반기 중 전년대비 39% 늘어났던 일반기업의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액은 7월 들어 전월대비 67%나 급감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최근 건설경기가 빠르게 냉각되면서 금융기관들이 건설업에 추가 자금 제공을 꺼리고 있다"며 "건설경기 부진에 금융경색까지 맞물리면서 재무구조가 취약한 중소 및 지방 건설사들을 중심으로 도산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 도산 현실화될 경우 경제적 충격 일파만파
연구원은 "이처럼 잠재적 부실기업들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확대됨에 따라 기업 도산이 현실화될 경우 경제적 충격이 과거보다 더 클 수 있다는 것은 한국경제가 안고 있는 심각한 위기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며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연구원은 “상장사 전체 매출액 가운데 잠재적 부실기업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3년 8.0%에서 올 상반기 18.8%로 높아졌으며, 시가총액 비중은 4.3%에서 14.7%로 확대됐다”며 "아직 기업들의 도산이 아직 현실화되지는 않았지만 도산 가능성이 높은 잠재적 부실기업들의 재무상태는 더 악화된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건설업을 비롯해 최근 기업 도산이 늘고 있거나 잠재적 부실기업이 다수 포함된 분야를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