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중근씨 사망에 건설노동자 '절규'
<현장> “땡볕 건설현장 가보라. 그래도 우리가 하찮은 노가다냐”
경북 포항건설노조 조합원 하중근(44) 씨가 1일 새벽 끝내 숨을 거두자 민주노총 등 노동자들의 분노가 폭발하고 있다.
민주노총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포항지역 건설노동조합원 1백여명은 2일 긴급 상경 투쟁을 전개하며 이 날 오전 10시 서울 대치동 포스코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하씨 사망과 관련해 시위진압 관련자 처벌을 요구했다.
경찰의 과잉 진압이 죽음 불러, 책임자 문책 요구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전용철, 홍덕표 농민이 경찰 폭력에 사망한지 8개월만에 백주대낮에 멀쩡한 노동자가 국가권력의 야만적 폭력에 의해 또 다시 죽임을 당했다”며 “죽은 사람은 있는데, 죽인 사람이 없다는 것이 말이 되겠는가? 반드시 폭력진압, 살인행위의 책임자를 찾아내야 하고, 또 법에 의거하여 처벌해야만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와 함께 ▲경찰폭력 살인 진압에 따른 노무현 대통령의 공식 사과 ▲경찰폭력 진압 재발방지대책 마련 ▲건설노조에 대한 손배가압류 철회와 관련 구속자 석방 ▲고 하중근 조합원의 유가족에 대한 완전한 보상 ▲포스코의 대화 협상 노력 등을 요구했다.
상경 조합원 1백여명은 기자회견에 이어 오후 2시에는 서울역으로 자리를 옮겨 1백54일째 파업을 이어가고 있는 KTX 여승무원들과 공동집회를 연 뒤 상복 차림으로 경찰청 청사까지 행진, 경찰청장과 면담을 요구하며 항의집회를 열었다.
"건설노동자는 노동자 취급도 못 받아"
오후 2시.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땀이 비오듯 흐르는 폭염 아래서 1백여명의 상경 투쟁 조합원들과 1백여명의 여승무원들은 하중근 씨의 죽음을 애도했다.
이광일 건설연맹 지역업종 부의장은 “우리 하중근 조합원이 뭘 그렇게 큰 걸 요구했나? 뭘 그렇게 잘못했나? 노동 3권 보장해 달라는 요구가 정부나 대기업이 보기에는 그리도 괘씸하고 큰 요구였냐”고 개탄했다.
이 부의장은 “건설노동자들은 하루에도 평균 2명꼴로 자빠져 죽고 떨어져 죽는다”면서 “그럼에도 우리는 노동자 취급도 못받는다. 다들 우리보고 ‘노가다’라고 그러지 언제 한번이라도 노동자로 대우한 적 있냐”고 말했다.
그는 “지금 여러분들이 앉아있는 계단도, 우리 앞에 있는 저 서울역도 모두 건설 노동자들의 땀과 피로 만든 것”이라며 “이 땡볕에 건설 현장을 한번 가보고 나서 우리를 노가다니 뭐니 말해 보라. 과연 그 말이 나오겠냐”고 분개했다.
경찰-대책위 부검에는 일단 합의, 장례는 아직 못 치뤄
한편 이번 사망사건과 관련해 경북 포항건설노조를 비롯한 노동단체로 구성된 ‘폭력살인 정권 규탄 및 책임자 처벌을 위한 건설노동자 하중근 열사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도 2일 오전 11시 포항 동국대병원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숨진 하 씨에 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대책위는 “7월 16일 전국건설산업연맹 주최로 포항 형산로터리 협력회관 앞에서 개최된 평화적 집회가 폭력경찰의 야만적 진압과 무차별적 테러행위로 인하여 고 하중근 동지를 비롯한 3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면서 “이날 경찰은 마치 작정이나 한 듯, 집회를 하고 있는 조합원들의 대오 속으로 쳐들어와서 방패와 곤봉을 휘두르는 등 기습적으로 3차례에 걸쳐 폭력을 행사했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또 “당시 집회 현장에 함께 있었던 많은 조합원들의 증언과 사진 채증자료, 비디오 파일 등을 분석한 결과 경찰의 불법적이고 폭력적인 진압행위가 하중근 동지 사망의 직접적 원인임을 알 수 있다”며 "민변과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등 서울에서 급파된 합동진상조사단의 1차 조사에서도 경찰의 폭력이 이번 사고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었음이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한편 경찰과 비대위는 노조 측 추천 의사 참여 등에 합의를 보지 못해 미뤄졌던 하씨의 사인규명을 위한 부검을 이날 오후 늦게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책위는 “경찰이 오늘(2일) 오후 2시 부검을 하기로 했지만 노조 측 참여 의사, 변호인 등이 포항에 오후 3시 이후에나 도착한다"면서 "진실을 밝히기 위해 부검이 공정하게 실시된다면 이를 거부할 이유가 없으며 노조 측의 참여가 보장된다면 부검에 동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숨진 하씨의 장례는 부검이 끝날 때 까지는 당분간 치러지지 않을 전망이다. 대책위는 정부와 포스코 등과 교섭을 거쳐 요구사항에 대한 협의가 이뤄지면 장례 절차를 밟기로 했다.
민주노총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포항지역 건설노동조합원 1백여명은 2일 긴급 상경 투쟁을 전개하며 이 날 오전 10시 서울 대치동 포스코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하씨 사망과 관련해 시위진압 관련자 처벌을 요구했다.
경찰의 과잉 진압이 죽음 불러, 책임자 문책 요구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전용철, 홍덕표 농민이 경찰 폭력에 사망한지 8개월만에 백주대낮에 멀쩡한 노동자가 국가권력의 야만적 폭력에 의해 또 다시 죽임을 당했다”며 “죽은 사람은 있는데, 죽인 사람이 없다는 것이 말이 되겠는가? 반드시 폭력진압, 살인행위의 책임자를 찾아내야 하고, 또 법에 의거하여 처벌해야만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와 함께 ▲경찰폭력 살인 진압에 따른 노무현 대통령의 공식 사과 ▲경찰폭력 진압 재발방지대책 마련 ▲건설노조에 대한 손배가압류 철회와 관련 구속자 석방 ▲고 하중근 조합원의 유가족에 대한 완전한 보상 ▲포스코의 대화 협상 노력 등을 요구했다.
상경 조합원 1백여명은 기자회견에 이어 오후 2시에는 서울역으로 자리를 옮겨 1백54일째 파업을 이어가고 있는 KTX 여승무원들과 공동집회를 연 뒤 상복 차림으로 경찰청 청사까지 행진, 경찰청장과 면담을 요구하며 항의집회를 열었다.
"건설노동자는 노동자 취급도 못 받아"
오후 2시.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땀이 비오듯 흐르는 폭염 아래서 1백여명의 상경 투쟁 조합원들과 1백여명의 여승무원들은 하중근 씨의 죽음을 애도했다.
이광일 건설연맹 지역업종 부의장은 “우리 하중근 조합원이 뭘 그렇게 큰 걸 요구했나? 뭘 그렇게 잘못했나? 노동 3권 보장해 달라는 요구가 정부나 대기업이 보기에는 그리도 괘씸하고 큰 요구였냐”고 개탄했다.
이 부의장은 “건설노동자들은 하루에도 평균 2명꼴로 자빠져 죽고 떨어져 죽는다”면서 “그럼에도 우리는 노동자 취급도 못받는다. 다들 우리보고 ‘노가다’라고 그러지 언제 한번이라도 노동자로 대우한 적 있냐”고 말했다.
그는 “지금 여러분들이 앉아있는 계단도, 우리 앞에 있는 저 서울역도 모두 건설 노동자들의 땀과 피로 만든 것”이라며 “이 땡볕에 건설 현장을 한번 가보고 나서 우리를 노가다니 뭐니 말해 보라. 과연 그 말이 나오겠냐”고 분개했다.
경찰-대책위 부검에는 일단 합의, 장례는 아직 못 치뤄
한편 이번 사망사건과 관련해 경북 포항건설노조를 비롯한 노동단체로 구성된 ‘폭력살인 정권 규탄 및 책임자 처벌을 위한 건설노동자 하중근 열사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도 2일 오전 11시 포항 동국대병원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숨진 하 씨에 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대책위는 “7월 16일 전국건설산업연맹 주최로 포항 형산로터리 협력회관 앞에서 개최된 평화적 집회가 폭력경찰의 야만적 진압과 무차별적 테러행위로 인하여 고 하중근 동지를 비롯한 3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면서 “이날 경찰은 마치 작정이나 한 듯, 집회를 하고 있는 조합원들의 대오 속으로 쳐들어와서 방패와 곤봉을 휘두르는 등 기습적으로 3차례에 걸쳐 폭력을 행사했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또 “당시 집회 현장에 함께 있었던 많은 조합원들의 증언과 사진 채증자료, 비디오 파일 등을 분석한 결과 경찰의 불법적이고 폭력적인 진압행위가 하중근 동지 사망의 직접적 원인임을 알 수 있다”며 "민변과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등 서울에서 급파된 합동진상조사단의 1차 조사에서도 경찰의 폭력이 이번 사고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었음이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한편 경찰과 비대위는 노조 측 추천 의사 참여 등에 합의를 보지 못해 미뤄졌던 하씨의 사인규명을 위한 부검을 이날 오후 늦게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책위는 “경찰이 오늘(2일) 오후 2시 부검을 하기로 했지만 노조 측 참여 의사, 변호인 등이 포항에 오후 3시 이후에나 도착한다"면서 "진실을 밝히기 위해 부검이 공정하게 실시된다면 이를 거부할 이유가 없으며 노조 측의 참여가 보장된다면 부검에 동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숨진 하씨의 장례는 부검이 끝날 때 까지는 당분간 치러지지 않을 전망이다. 대책위는 정부와 포스코 등과 교섭을 거쳐 요구사항에 대한 협의가 이뤄지면 장례 절차를 밟기로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