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李대통령 "'생즉사 사즉생' 각오 필요"

"노사민정 대타협, 금모으기보다 의미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25일 "각 장관들은 국가에 마지막으로 봉사한다는 자세로 위기극복에 임해 달라"며 "이순신 장군의 말처럼 '생즉사 사즉생'(生卽死 死卽生)의 각오가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1주년을 맞아 이날 저녁에 가진 만찬 국무회의에서 "세계적 경제위기가 시작된 지난해 하반기보다 올해는 더 상황이 안 좋을 수도 있지만 한가지 분명한 차이가 있다"며 "지난해는 예측하지 못한 채 위기를 맞았지만 올해는 최악의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있으므로 자신감 있게 대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노사민정이 자율적으로 대타협을 이끌어 낸 위대한 정신은 10년 전 외환위기 때 국민들이 금모으기에 나섰던 것보다 더 큰 의미가 있다"며 "일자리를 나누고 고통을 분담하는 움직임이 우리 사회에 가시화하고 있어 징조가 좋다"고 말했다.

그는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이다"라며 "세계 여러국가 중에서 노사민정이 한 마음 한 뜻으로 협력하여 위기를 극복한 대표적 사례로 기록될 것으로 믿는다. 여러분도 확신을 가지고 함께 나아가자"고 당부했다.

이날 토론식으로 진행된 국무회의에선 ▲국민소통 및 주요정책 홍보 ▲당정청 협조체계 구축 ▲정부 내 정책추진체계 개선 등에 대한 의견이 제시됐다.

국민소통 및 주요 정책 홍보에 대해 참석자들은 "일반인들의 새로운 정책 제안을 받아들이는 창구를 좀 더 다양하게 만들어야 한다"며 "전문가 뿐 아니라 정책참여 희망자들을 정책입안 과정에 참여시키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논리적 설득 못지 않게 국민의 감성적 동의를 얻어야 한다"며 "정부가 추구하는 법치가 차갑고 엄정한 면만 있는 게 아니며 따뜻한 법치임을 알려야 한다. 건전한 비판세력은 보다 적극적으로 끌어 안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당정청 협조체계 구축과 관련, "당의 협조를 구해야 할 사안은 미리 알려 주고 설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국회 법안 통과의 1차 책임은 각 부처에 있다는 생각을 갖고 해당 공무원들이 여야 의원들을 설득하는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 또 당과 정부는 국민이 혼란스러워 하지 않도록 통일된 내용을 발표해야 하며 설익은 정책 발표도 지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 내 정책추진체계 개선과 관련헤선 "공무원들이 혼을 가져야 한다. '영혼 없는 공무원'이란 말이 나와서는 안된다. 공무원들이 혼을 가져야 열정을 분출할 수 있다. 중앙정부의 정책이 지자체에까지 잘 침투되지 않고 있다. 지방과 적극적으로 소통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마케팅 전략도 강구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영섭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6 개 있습니다.

  • 9 5
    친절한아자씨

    해석...생즉사 사즉생
    생쥐가 즉사하면, 사람은 즉시 살아난다.

  • 5 8
    111

    한글 이라도.....
    제대로 쓸줄아나

  • 18 7
    의미를 찾아서

    생즉사 사즉생의 참뜻은
    쥐정권 통치 아래서 산다는 것은 바로 서민의 죽음이요 쥐가 죽으면 서민의 나라가 산다는 뜻

  • 11 8
    서민

    생즉사,사즉생 이말은 바로,
    침탈해온 일본왜적놈들 물리쳐내기위해서 우리의 자랑스런 조상이신 이순신장군께서 하신말씀. 도적꾼인 왜구를 대항할때에는 반드시 잊지말아야 할 말이다.

  • 13 11
    ㅋㅋ

    노사민정의 첫 성과물 ==> 고용확대 없는 초임자임금삭감 !
    죽을 각오로 사회적 약자들을 죽이는 2MB.
    '김정일 저리가라' 수준.

  • 14 6
    ㅇㅇㅇ

    사람말을 해야 사람이 알아먹지
    쥐가 찍찍거리는 소리를 어떻게 사람이 알아먹냐.
    저 물건 옆에 통역사라도 붙여줘서 최소한 사람이 알아들을수 있게는 해라.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