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서청원-양정례, 입-복당 후 당헌권 정지

박희태 "복당 시기는 개별 인사에 맡길 것"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는 10일 친박 복당 문제와 관련 "친박 의원 전원을 무조건 일괄복당으로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며 '선입당 후심사'방침을 밝혔다.

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비공개로 진행된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뒤 기자간담회를 열어 "그간 친박 의원들의 복당문제가 험한 길을 걸어왔다. 그러나 오늘 드디어 종착역에 도착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앞으로 당에는 계파 얘기가 안 나오는, 화합된 목소리만 나오는 정당이 되기 바라 마지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는 복당 대상자들의 복당 시기와 관련 "우리는 모두 받아들이겠다는 원칙을 천명했고 대상자들이 즉시 입당할 것인지 본인판단에 따라 좀 뒤에 하고 싶은 사람은 뒤에 하든지 다 받아들인다는 것"이라며 시기에 구애받지 않는 일괄복당을 강조하면서도 "일단 당원 소속이 되면 당헌당규에 따라 처리가 돼야 한다"고 못 박았다.

그는 "기소된 사람이든 아니든 당원이 됐으면 당헌당규에 승복해야 한다"며 "모두 당헌당규에 따라 처리가 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현 당헌당규에 따라 기소된 자에 대한 당헌권 정지 조항을 바로 적용하겠다는 것이냐'는 질문에 "그것은 윤리위원회에서 판단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친박연대 당직자들의 입복당 여부에 대해서는 "이제까지의 논의는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며 "오늘은 이것을 해결한다는 선에서 말씀드린 것"이라고 추후 논의 의사를 밝혔다.

그는 '친박 복당과 관련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요구를 모두 들어줬다고 생각하나'란 물음에 "그 정신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결과라고 생각한다"며 "심사 후 복당이 아닌 모두 받아들이고 당원이 된 이상 당헌당규의 적용을 받아야 하지 않느냐는 원칙적이고 누가 봐도 순리에 맞는 결정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친박 의원들의 복당 시 일부 당협위원장직의 중복 문제에 대해 "아직 당협위원장들의 임기가 1년이기 때문에 임기가 남아있다"며 "복당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현재 당 소속 당협위원장들에 대해서는 진로와 위상을 세워주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당 차원에서 하겠다고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편 당내 인사문제와 관련 "지금 빨리 인사를 안한다고 문제를 제기하는데 사실 나는 당내 인사보다 친박 복당을 먼저 하는 것이 순서라는 뜻에서 (취임)일주일이 안 되는 기간 전력을 다해 최고위원들과 노력했다"며 "아직 인사문제가 늦은 건 아니다. 이번 주까진 여러 상의할 사람도 있으니 다음주초쯤 발표할까 생각한다. 그리고 지금 국회 내부의 상임위 배정 등등은 원내대표가 알아서 할 소관이기 때문에 깊이 말씀드릴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당직 인사에 복당한 친박 의원들을 고려할 것이냐'는 질문에 "이번인사에서는 불가피하게 현재 들어와 있는 대상으로 신청할 수밖에 없다"며 "인사라는 것이 이번에만 있는 게 아니고 이번에 못한 사람에게는 특별한 길을 또 만들겠다"고 복당 친박 의원들에 대한 심사 배제 의사를 밝혔다.

한편 박근혜계 허태열 최고위원은 이번 결과에 대해 "당에서 즉각적인, 무조건적인 복당을 하겠다고 했으니 그분들은 바로 들어오면 바로 당원권이 정지될 가능성이 높다"며 "그분들이 복당시기를 재판 결과가 난 후에 하고 싶어 할 수 있는데 그것도 시기도 본인의 뜻에 따라 허용하겠다고 한 것"이라고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
조은아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20 8
    한글

    기사 수정
    요망.
    당헌권->당원권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