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임금일자리 고작 1만5천개 '역대 최소' 증가
내수 불황에 수출 타격 겹치면서 '고용전선' 급랭
26일 통계청의 '2025년 1분기(2월 기준)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1분기 전체 임금 근로 일자리는 2천53만6천개로 작년 동기 대비 1만5천개 늘어났다.
임근 근로 일자리 증가 폭은 지난해 4분기(15만3천개) 처음으로 10만개대로 떨어진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는 1만개대로 급감하며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건설업 일자리가 역대 가장 큰 폭인 15만4천개 감소하며 일자리 증가 폭 감소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건설업 일자리는 2023년 4분기부터 6분기 연속 줄면서 169만개로 축소됐다. 이는 역대 최소 수준(2020년 1분기·165만5천개)과 비슷하다.
제조업은 1만2천개 줄며 2021년 1분기 이후 4년 만에 감소했다.
도소매업 일자리도 8천개 감소하며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부동산업은 5천개 줄었지만, 2023년 2분기 이후 이어지던 6천∼9천개 수준의 감소세는 다소 둔화하는 추세다.
정보통신업도 1만2천개 감소했다. 지난해 하반기 우편 및 통신, 출판업계 구조조정과 인력개편에 따라 감소 폭이 확대됐다.
반면 보건·사회복지(10만9천개), 협회·수리·개인(2만5천개), 전문과학·기술(2만4천개), 운수·창고(2만1천개), 교육(9천개) 업종에서는 일자리가 늘었다.
숙박·음식업은 5천개 늘었지만, 코로나19 영향권이던 2021년 4분기 이후 가장 적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19만7천개)에서 가장 일자리가 많이 늘었고, 30대(6만4천개), 50대(2만1천개)도 증가했다.
반면 20대 이하(-16만8천개), 40대(-10만개)에서는 일자리가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20대 이하에서는 도소매, 건설업, 정보통신업 중심으로, 40대는 건설업, 제조업, 도소매업 중심으로 일자리가 줄었다.
전체 일자리 중 1년 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천507만개(73.4%)였다. 퇴직·이직으로 대체된 일자리는 325만4천개(15.8%), 새로 생긴 일자리는 221만2천개(10.8%), 사업 축소 등으로 사라진 일자리는 219만7천개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