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신문조서 증거 채택에 직접 반발
"어떻게든 야당 설득해보려했지만 악의적 줄탄핵"
윤 대통령은 이날 열린 탄핵심판 7차 변론에서 직접 발언 기회를 얻어 "검찰이면 검찰, 군검찰이면 군검찰, 공수처면 공수처, 경찰이면 경찰, 이렇게 일관된 한 기관이 조사한 것이 아니고 여러 기관이 달려들어서 중구난방으로 조사하고, 국회에서 한 청문 기록까지 혼재돼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홍장원(전 국정원 1차장)이나 다른 관계자들을 직접 심판정에서 신문해봤지만 조서에 기재된 내용과 실제로 증언 들은 것들이 너무 거리가 많이 벌어진 것을 많은 사람들이 느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어느 한 기관이 체계적으로 수사를 했으면 모르겠는데, 이게(조서들) 서로도 맞지 않기 때문에 그런 점을 잘 살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평의 때 논의해 보겠다"고 짧게 답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자신이 야당과의 대화나 타협 없이 위헌적 계엄선포를 했다는 국회측 지적에 "대통령이 대화와 타협을 거부하고 불통의 일방통행이 이뤄졌다는 것이 민주당의 계속된 프레이밍"이라며 "의석 수 100석 좀 넘는 것으로 어떻게든 야당을 설득해보려 했는데, 현대사·문명국가에서 볼 수 없는 줄탄핵이 대단히 악의적이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제가 취임할 때 야권은 선제탄핵을 주장하며 계엄 선포 전까지 무려 178회 퇴진과 탄핵 요구가 있었다"며 "대화와 타협을 하겠다는 게 아니라 이 정권을 파괴시키는 게 목표라는 걸 명확히 보여줬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대통령은 특히 자신의 국회 연설때 "아무리 미워도 그래도 얘기를 듣고 박수 한번 쳐주는 게 대화와 타협의 기본인데 제가 취임하고 갔더니 아예 로텐더홀에서 대통령 퇴진 시위를 하며 의사당에 들어오지도 않아서 여당 의원만 보고 반쪽짜리 예산안 기조연설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 다음번에는 언론에서 비판을 하니까 들어는 왔다. 그런데 전부 고개를 돌리고 있고 악수를 하니까 전부 거부하면서 문 쪽에 안면 있는 일부만 하고 저에게 '심지어는 빨리 사퇴하세요' 이런 의원들도 많았다"며 "우리 헌정사상 (야당이) 예산을 일방삭감해 일방적으로 예산안을 일방 통과시킨 것은 지난해 12월이 유일하다"며 거듭 야당의 전횡을 비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