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김태우 문건, 지시없이 스스로 만든 것"
"언론사 동향 보고 등 작성하지 말라며 폐기한 보고서"
박형철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은 19일 자유한국당이 김태우 수사관이 청와대 특감반원이었을 때 작성한 첩보보고서 제목 파일을 공개한 것과 관련, “특감반원은 어떤 지시를 받고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주제를 정해서 자신의 역량으로 첩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아무런 지시없이 자신이 생산한 문건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해명했다.
박형철 비서관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한국당의 민간인 사찰 공세에 정면 반박했다.
박 비서관은 “오늘 김 수사관이 자신이 작성한 문서의 컴퓨터 화면을 배포했고, 해당 사진 일부 파일명에 ‘문제가 있는 문건’이라는 취지로 빨간 표시가 돼 있다”며 “특감반원의 문건은 제게 보고된 것도 있지만 특감반장이나 데스크 차원에서 폐기된 문건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자신이 받은 첩보를 혼자 정리해놓은 수준의 문건도 있기 때문에 해당 문건이 모두 보고됐다는 것을 전제로 하면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김 수사관이 주장하는 언론사 동향 보고와 같은 보고에 대해서는 당시에도 ‘언론사찰의 소지가 있으니 작성하지 말라’고 특감반장이 폐기한 보고서다”며 “저에게도 보고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박 비서관에 따르면, 빨간 표시가 돼 있는 문건 10건 중 ▲ 코리아나호텔 사장 배우자 이미란 자살 관련 동향 ▲ 한국자산관리공사 비상임이사 송창달, 홍준표 대선자금 모금 시도 ▲ 조선일보, BH의 홍석현 회장의 외환관리법 위반 혐의 검토 여부 취재 중 ▲ 조선일보, 민주당 유동수 의원 재판거래 혐의 취재 중 등 4건은 특감반장에게 보고됐으나 직무를 넘어선 것으로 판단해 폐기했다고 밝혔다.
또 ▲ 진보교수 전성인, 사감으로 VIP 비난' 문서 ▲ MB정부 방통위, 황금주파수 경매 관련 SK측에 8천억 특혜 제공 문서는 보고된 바 없다고 했다. 박 비서관은 "반부패비서관실이 김 사무관의 감사관 응모를 중단시키고 한달의 근신기간을 둬서 직무를 못하게 한 시기"라며 "이 두건의 보고서는 근신기간에 본인이 작성한 보고서로 추정되며 특감반 보고라인에 보고된 바 없다"고 부연설명했다.
▲ 방통위 고삼석 상임위원, 김현미 국토부 장관과 갈등 ▲ 주러시아 대사 내정자 우윤근 금품수수 관련 동향 ▲ 고건 전 총리 장남 고진, 비트코인 관련 사업 활동 중 ▲ 박근혜 친분 사업자, 부정청탁으로 공공기관 예산 수령 등 나머지 4건은 박 비서관에게 보고됐고, 이 중 비트코인 건을 제외한 3건은 조국 민정수석에게도 보고됐다고 언급했다. 적법한 감찰 활동의 일환이라는 주장이다.
그는 그러면서 “김 수사관이 특감반 초기에 이전 정부에서 민간 영역까지 다양한 첩보를 수집한 관행을 버리지 못하고 민간 영역 첩보를 수집 및 작성해서 특감반장에 보고했다”며 “그러나 특감반장이 ‘우리 정부는 이전 정부와 다르다, 앞으로 이런 첩보를 수집하지 말라’고 제재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저는 문재인 정부의 초대 반부패비서관으로서 제 명예를 걸고 법과 원칙에 따라 업무를 수행해왔다”면서 “비위 혐의자의 일방적인 주장이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형철 비서관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한국당의 민간인 사찰 공세에 정면 반박했다.
박 비서관은 “오늘 김 수사관이 자신이 작성한 문서의 컴퓨터 화면을 배포했고, 해당 사진 일부 파일명에 ‘문제가 있는 문건’이라는 취지로 빨간 표시가 돼 있다”며 “특감반원의 문건은 제게 보고된 것도 있지만 특감반장이나 데스크 차원에서 폐기된 문건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자신이 받은 첩보를 혼자 정리해놓은 수준의 문건도 있기 때문에 해당 문건이 모두 보고됐다는 것을 전제로 하면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김 수사관이 주장하는 언론사 동향 보고와 같은 보고에 대해서는 당시에도 ‘언론사찰의 소지가 있으니 작성하지 말라’고 특감반장이 폐기한 보고서다”며 “저에게도 보고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박 비서관에 따르면, 빨간 표시가 돼 있는 문건 10건 중 ▲ 코리아나호텔 사장 배우자 이미란 자살 관련 동향 ▲ 한국자산관리공사 비상임이사 송창달, 홍준표 대선자금 모금 시도 ▲ 조선일보, BH의 홍석현 회장의 외환관리법 위반 혐의 검토 여부 취재 중 ▲ 조선일보, 민주당 유동수 의원 재판거래 혐의 취재 중 등 4건은 특감반장에게 보고됐으나 직무를 넘어선 것으로 판단해 폐기했다고 밝혔다.
또 ▲ 진보교수 전성인, 사감으로 VIP 비난' 문서 ▲ MB정부 방통위, 황금주파수 경매 관련 SK측에 8천억 특혜 제공 문서는 보고된 바 없다고 했다. 박 비서관은 "반부패비서관실이 김 사무관의 감사관 응모를 중단시키고 한달의 근신기간을 둬서 직무를 못하게 한 시기"라며 "이 두건의 보고서는 근신기간에 본인이 작성한 보고서로 추정되며 특감반 보고라인에 보고된 바 없다"고 부연설명했다.
▲ 방통위 고삼석 상임위원, 김현미 국토부 장관과 갈등 ▲ 주러시아 대사 내정자 우윤근 금품수수 관련 동향 ▲ 고건 전 총리 장남 고진, 비트코인 관련 사업 활동 중 ▲ 박근혜 친분 사업자, 부정청탁으로 공공기관 예산 수령 등 나머지 4건은 박 비서관에게 보고됐고, 이 중 비트코인 건을 제외한 3건은 조국 민정수석에게도 보고됐다고 언급했다. 적법한 감찰 활동의 일환이라는 주장이다.
그는 그러면서 “김 수사관이 특감반 초기에 이전 정부에서 민간 영역까지 다양한 첩보를 수집한 관행을 버리지 못하고 민간 영역 첩보를 수집 및 작성해서 특감반장에 보고했다”며 “그러나 특감반장이 ‘우리 정부는 이전 정부와 다르다, 앞으로 이런 첩보를 수집하지 말라’고 제재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저는 문재인 정부의 초대 반부패비서관으로서 제 명예를 걸고 법과 원칙에 따라 업무를 수행해왔다”면서 “비위 혐의자의 일방적인 주장이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