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질타에 대한항공, 한진해운에 600억 지원키로
한진해운 매출채권 담보로
대한항공은 21일 오후 7시30분 긴급 이사회를 열고 한진해운에 매출채권을 담보로 600억원을 대여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한진해운에 대한 600억원 지원은 절차가 완료되는 즉시 집행할 예정이다.
당초 대한항공 경영진은 한진해운이 보유한 롱비치터미널의 지분을 담보로 잡아 600억원을 빌려주기로 하고, 선지원후 추후에 담보를 설정할 것을 이사회에 제안했다.
그러나 이사회는 법정관리에 들어간 기업의 자산을 담보로 수백억원을 지원했다가 회수하지 못할 경우 배임 등 법적 문제를 떠안을 수 있다는 이유로 제동을 걸면서 롱비치터미널 지분에 담보를 먼저 설정하는 조건으로 내걸었다.
하지만 롱비치터미널을 담보로 잡으려면 한진해운이 이미 담보 대출을 받은 6개 해외 금융기관과 또 다른 대주주인 MSC(보유 지분 46%) 등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어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이사회는 다시 고민을 거듭했다.
지원이 늦어지는 사이에도 화물 운송지연 등에 따른 한진해운의 손해배상채권액이 1조원대에 이를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미지급 용선료도 매일 불어나는 등 한진해운의 빚이 산더미처럼 늘어나 청산으로 가게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졌다.
게다가 금융당국에 이어 지난 13일 박근혜 대통령까지 나서서 한진해운 사태를 질타하면서 한진그룹에 추가지원을 압박했다.
결국 대한항공 이사회는 지난 8일부터 이날까지 5차례에 걸친 논의 끝에 이날 한진해운의 매출채권을 담보로 한 600억원 대여를 결의했다.
주로 미수금 운임인 매출채권은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당시 2억달러(약 2천228억원) 규모다.
매출채권은 받지 못하는 채권이 있는 등 담보 가치를 산정하기가 어려워 600억원을 모두 채우지 못할 가능성도 있지만 이날 산업은행도 대한항공이 한진해운 지원 금액을 확정하면 나머지 부족분을 보조해주는 방식으로 지원에 나서기로 한 상태여서 한진해운에 대한 지원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이로써 한진그룹은 지난 13일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사재 400억원과 이번에 대한항공이 지원하는 600억원까지 총 1천억원의 지원을 완료하게 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