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싱크탱크 '성장과통합'이 출범한 지 열흘도 채 되지 않아 내부 갈등으로 활동을 중단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유종일 성장과통합 상임공동대표도 지난 22일 국회에서 민주당 의원들을 상대로 '새 정부의 경제 정책 방향'을 주제로 한 특강을 예고했지만 취소했다.
또한 오는 28일 첫 행사로 인공지능(AI) 관련 심포지엄을 열 예정이었지만, 이를 내달 초로 순연했다. 정확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급기야 24일에는 내부 관계자가 "조직의 탄생 과정 처음부터 가져왔던 불안감이 결국 현실이 되었다. 조직 내 주도권 다툼 등 작은 문제들이 쌓이다가 결국 회비 소동으로 선거법 문제까지 불거졌다"는 글을 올렸다.
이어 "타 조직으로부터 집중적인 견제와 시기를 받았고, 후보님의 격노를 사게 됐다"며 "이에 과감하게 해산으로 문제의 싹을 없애고 선대위로 각자 헤쳐모이기로 결정했다"고 주장했다.
'기획운영위원회 일동' 명의로 낸 선언문에서 "지난 23일 오전 11시 참석자 전원의 합의로 해체를 결정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임병식 성장과통합 대변인은 "해체는 사실이 아니다. 전혀 논의된 바 없다"며 "출범한 지 일주일 밖에 되지 않았고, 본 선거가 시작도 되지 않았는데 의도적으로 흠집을 내는 것 같다"고 강력 부인했다.
이어 입장문을 통해선 "'성장과 통합' 해체에 관한 보도자료는 유종일 허민 상임공동대표가 인지하지 못한 내용"이라며 "정책 제언집을 완성한 후 향후 활동 방향을 논의 중"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민주당 안팎에서 흘러나오는 얘기를 종합하면 당과 성장과통합간에는 심각한 내홍이 있는 것만은 사실로 보인다.
지난 16일 국회도서관에서 성장과통합은 유종일 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장과 허민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를 비롯해 내로라하는 각계 500여명의 전문가가 운집한 메머드급 싱크탱크로 출범했다. 산하에 34개 분과나 뒀고, 분과별로 10개씩 공약을 만들기로 했다.
이에 성장과통합이 이재명 정부 출범시 인재풀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인수위 없이 곧바로 정권을 꾸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민주당에서는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 성장과통합 정책이 당내 검증 없이 곧바로 이재명 공약으로 인식되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이재명 캠프 윤후덕 정책본부장과 유종일 성장과통합 상임공동대표가 지난 19일 비공식 접촉을 갖고 교통정리를 시도했으나 결국 잡음이 외부로 표출되면서 활동 중단 사태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성장과통합이 16일 국회에서 출범식을 갖고 있다. ⓒ연합뉴스
윤술통 정권이 무너진것은 공정과 상식이 무너졌기 때문이었다. 조국부인은 표창장하나에 4년형 3년을 감옥에서 보냈다. 똥치부인은 500만원어치 뇌물을 받아도 검찰이 무혐의 -이런 2런 ! 결국 이런것이 쌓여 총선대패로 이어졌다. 민심을 얻기는 힘들지만 잃는것은 순식간이다. 이재명은 사심을배제하고 공정과 상식을 지키면 성공한 정권이 된다. 출발부터 잘하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