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월드-센텀시티-부산철도, 낙동강에 불법매립"
4대강 폐기물 매립 파문 확산, "1천만 PK 식수원 오염 위기"
<부산일보>는 12일자 지면을 통해 불법폐기물이 발견된 경남 김해시 상동면 감로리 일원 낙동강 사업지구 8~9공구를 찾아 생생한 르포기사를 내보냈다.
<부산일보>는 "(공사장에 도착해) 300m가량 걸어들어가자 포클레인으로 뒤집어 놓은 폐기물이 군데군데 쌓여 있었다. 검다 못해 잿빛까지 띠고 있었다"며 "가까이 다가가니 10m가량의 팬 구덩이에 폐타이어와 로프, 비닐 등이 마구 얽혀 있었다. 콘크리트, 아스팔트 조각도 무더기로 쌓여 있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어 "주민들은 부산도시철도와 제2롯데월드, 센텀시티 공사장에서 들여왔다고 입을 모았다"며 "매립은 20년 전부터 시작됐지만, 본격화된 것은 2004~2006년 사이였다고 한다"고 전했다. 부산에 초대형 빌딩이 밀집한 센텀시티와 제2롯데월드 등을 건설하면서 폐기물이 대량 매립됐다는 주장인 셈.
감로리 신곡마을 이상식(52) 이장은 "매립하면서 지주들의 동의를 받긴 했지만, 남의 눈을 피해 밤엔 폐기물을 투기하고 낮에는 정상적인 흙으로 성토했었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주민들은 또 "2000년대 초 폐기물이 나와 지주나 농민들이 폐기물 투기행위자를 고발했지만, 대부분 무혐의처리됐다"면서 "이번에는 낙동강 사업을 위해 문화재지표조사를 하면서 세상에 불거졌다"고 말했다.
신문은 "현재 추정된 매립량은 수십만t. 하지만 감로리 일대 고수부지 구간이 길이 3㎞, 너비 280m로 이뤄져 있어 전수조사를 하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추측"이라며 "폐기물이 매립돼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이 워낙 넓어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신문은 이어 "문제는 낙동강 사업 준설 예정부지 경계 지점에도 폐기물이 묻혀 있을 개연성이 높다는 점"이라며 "폐기물은 대부분 두께 1.5m가량의 정상적인 흙 아래 7m가량 깊이로 묻혀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상태에서 준설작업이 이뤄지면 오염물질이 강물에 씻겨 내려가 상수원이 오염될 것은 뻔한 일"이라며 1천만 부산·경남인들의 식수원 오염을 우려했다.
신문에 따르면, 폐기물 매립은 감로리 일원에 집중돼 있는데 이곳에서 하류 방향인 매리나 물금 취수장과는 거리가 2㎞ 안팎이다. 매리취수장은 부산·김해 시민의 식수원이고, 물금은 양산과 울산 시민의 식수원이다.
신문은 "(폐기물을) 그대로 둘 수도 없다. 토양오염으로 이곳에서 재배되는 채소가 시들시들할 정도로 땅이 황폐해졌기 때문"이라며 "정부는 이런 흙을 농지리모델링에 재활용한다는 방침이어서 또 다른 문제를 일으킨다는 지적"이라고 비판했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폐기물(매립토)이 발견된 경우 오염원 전체를 모두 덜어내 상수원 오염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시민들은 폐기물 전량 처리는 당연하고 투기행위자 색출, 관계 공무원 문책, 4대강공사 중단 등의 조치가 함께 함께 행해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경남도낙동강사업특별위원회 강재현(인제대 교수) 위원은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폐기물에 대한 전량 처리는 물론 성분분석, 투기행위자 색출, 관리감독을 제대로 하지 못한 관계 공무원에 대한 문책이 있어야 한다"면서 "특히 정부는 강살리기는 도외시한 채 준설에만 급급하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