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에 세균 바글바글, "청계천서 물놀이 말라"
기준치보다 세균 14배나 많아, 하수도 오폐수 흘러들어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무교동과 왕십리동, 사근동 등 청계천 상ㆍ하류 3곳의 수질을 측정한 결과, 이들 지역 모두 연평균 기준으로 물놀이가 가능한 수질인 2급수 기준치보다 많은 대장균이 검출됐다.
지난해 평균 사근동에서는 100㎖당 1만4천113마리의 대장균이 검출돼 2급수 기준치인 100㎖당 1천마리 이하의 14배에 달했다.
이 중 대변을 통해 배출되는 분원성 대장균도 1천96마리로, 기준치 200마리의 5배를 초과했다.
왕십리동에서는 1만2천478마리가 검출됐으며 이 중 341마리가 분원성 대장균이었다.
도심쪽인 무교동에서도 대장균이 1천477마리, 분원성 대장균이 203마리 검출됐다.
올해 상반기에는 수질이 크게 개선돼 분원성 대장균 수가 사근동 157마리, 왕십리동 87마리로 줄었으나 총 대장균 수는 각각 2천110마리와 1천150마리로 여전히 기준치를 넘었다.
대장균은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세균으로, 많이 검출되면 다른 세균과 바이러스가 있을 가능성도 높아 물놀이 중 다양한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한강물을 정화해 흘려보내지만 구조상 하수도가 흘러들어갈 수 있어 일시적으로 오염도가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