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부유물질, 4대강 때문에 최대 16배 증가"
낙동강 6곳 중 4곳에서 환경영향평가 기준 초과
낙동강국민연대와 운하반대 낙동강지키기 부산ㆍ경남ㆍ대구경북운동본부는 이날 오전 경남 창원시 낙동강유역환경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주장했다.
이들은 민주당 이미경 의원과 공동으로 경남과 경북 4개 시ㆍ도의 낙동강 수질합동조사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5월 낙동강 부유물질 농도가 다른 연도에 비해 최대 16배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조사지점 6곳 중 4곳은 환경영향평가 협의기준인 40㎎/L를 초과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올해 5월의 낙동강 부유물질이 물금 31.2, 삼랑진 49.1, 남지 89.7, 고령 99.6, 강창 27.4, 성주 지점이 110.7㎎/L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성주지점의 경우 2008년 5월 6.9㎎/L였던 부유물질이 올해 110.7㎎/L로 조사돼 16배가 넘어서는 등 2007년부터 지난해 같은 기간에 조사된 부유물질 수치가 올해보다 훨씬 낮았다.
이들 단체는 "5월 평균 부유물질 수치가 초과한 것은 낙동강 본류의 대규모 준설이 시작된 4월 이후의 상황이 수질측정 결과에 반영된 것"이라며 "우기가 지난 후 본격준설이 시작되고 흙탕물 오염 저감대책이 없을 경우 2년 내내 흙탕물로 뒤덮여 수질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부유물질 수치가 초과한 분석결과 및 낙동강사업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재평가 실시를 요청하는 서한을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전달했다.
또 경남도 김두관 지사에게 부유물질 저감대책을 수립하고 수질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종합적으로 검토되고 새로운 대안이 제시될 때까지 공사를 중단할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