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발탄에도 4대강 밀어붙이기...대형사고 우려"
<영남일보>, 업체 "내년말까지 공사 끝내야 하기 때문에..."
30일 <영남일보>에 따르면, 경북도내 낙동강 살리기 사업 구간 가운데 고령·성주·칠곡 일대는 6·25전쟁 당시 최대 격전지 중 하나로 낙동강을 건너려는 북한군에 맞서 한국군과 UN군이 융단폭격으로 폭탄을 퍼부은 곳으로 불발탄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제로 왜관철교 북쪽에 있는 칠곡보 건설현장에서는 공사가 시작된 후 지금까지 불발탄 4개가 발견돼 군 폭발물처리반(EOD)이 수거했으며, 지난 26일에는 고령군 개진면 개포리 낙동강 살리기 사업 22공구에서 준설도중 불발탄이 폭발해 준설작업이 연기됐다. 군과 경찰은 이날 터진 불발탄이 6·25 당시 북한군이 사용했던 길이 30~40㎝크기의 포병탄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낙동강살리기사업 고령~칠곡구간에는 칠곡보·강정보·달성보 공사와 함께 이 구간에 대한 준설작업이 진행중이지만, 지역 주민들은 이들 건설현장에서 언제라도 불발탄이 폭발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고령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1960∼80년대 홍수가 지나간 뒤면 낙동강변에서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불발탄이 목격됐다. 또 90년대 초반까지 고령 등 낙동강 일대에서 골재를 채취하던 업체는 수시로 불발탄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모씨(75·고령군 개진면)는 "고령군 개포 일원은 6·25 당시 남북간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지금이라도 준설과 보 공사를 중단하고 정밀조사를 실시, 수중에 있는 불발탄을 제거해야 한다"며 "언제 대형사고가 발생할지 모른다"고 불안감을 나타냈다.
지역 군부대도 개포리 일대에 여전히 폭발위험이 있는 만큼 안전을 위해 금속탐기지를 사용해서 미리 수거하는 등의 뚜렷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나 공사업체는 낙동강에 묻혀있는 불발탄을 회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불발탄을 제거하려면 보 공사와 준설작업을 장기간 중단해야 하지만 내년말까지 공사를 끝내야하기 때문에 시간적·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
낙동강사업 22공구를 담당하는 현대건설 관계자는 "수중에서 불발탄을 찾아낼 수 있는 탐지기는 국내에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만약 이런 장비가 있었다면 이미 사전에 조치를 했을 것"이라며 "현실적 대안이 없어 공사를 담당하는 업체 입장에서도 답답할 따름"이라고 하소연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