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내 '쇠고기 재협상론' 급부상
원희룡-남경필 등 "30개월 이상 미국 쇠고기 수입 금지해야"
국민 대저항에 남경필, 원희룡 등 한나라당 의원들이 2일 잇따라 30개월 이상 미국 쇠고기 수입 금지 등을 골자로 하는 미국과의 재협상을 주장하고 나서는 등, 한나라당내에서 '쇠고기 재협상론'이 급부상해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남경필 의원은 2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작금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민심수습책과 관련, "다 바꿀 순 없더라도 대운하 문제, 일단 쇠고기 문제부터 정책의 변화가 시작이 필요하다"며 "그 중 핵심은 30개월 이상된 쇠고기를 수입을 어떻게 할 것이냐 이 문제를 바꿔내는 데부터 시작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남 의원은 재협상을 의미하냐는 질문에 "재협상이라고 할 수도 있고 추가협상이라고 할 수도 있다"며 "나는 미국을 충분히 설득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30개월 이상된 쇠고기 수입량이 결국은 5%도 안 된다"며 거듭 재협상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또 3일 정부과 장관고시를 관보에 게재하려는 데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밝히며 "지난 번 고시도 좀 빨랐다라고 생각하는데, 그 문제까지 포함해서 저희가 할 수 있는 이런 정부에 대한, 또 청와대에 대한 건의를 하겠다"며 "오늘 의총에서 문제제기를 하겠다"고 밝혔다.
원희룡 의원도 이날 불교방송 '유용화의 아침저널'과 인터뷰에서 작금의 쇠고기 파동과 관련, "우리 여당 입장에서는 쉽게 말씀을 드리면 정부가 사고를 쳤는데 같은 식구가 사고를 쳤다는 것 때문에 정부가 국제적인 협상을 뒤집는 게 불가능하다는 그 입장을 많이 의식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초반에 협정에 대한 국민들의 항의에 대해서 선택할 수 있는 폭 자체가 매우 좁았다"며 자성한 뒤,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안 된다, 일반적으로 밀고 가는 그게 맞는 게 아니고 국민의 우려를 최대한 반영을 해가지고 시도를 해 봐야 된다, 실제적인 재협상 노력을 하는 게 도리라고 생각한다"며 재협상을 주장했다.
그는 앞서 장관고시 강행때도 한나라당에서 반대 목소리가 있었음을 밝힌 뒤, "강행 하는 입장에서는 어차피 시위도 하루 이틀에 끝날 게 아닌 것 같기 때문에. 일단은 고시를 강행해 놓고 소나기를 한꺼번에 맞겠다, 이런 상황인 것 같은 그런 생각인 것 같다"며 "이런 것들이 정말 국민의 분노에 기름을 끼얹고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못 막는 그런 사태를 자꾸 자초하고 있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그는 30개월 이상 미국 쇠고기 수입과 관련해서도 "어차피 이것을 풀더라도 단기적으로 풀었어야 되는 거고 국민의 납득을 확보하면서 했어야 되는 건데..."라며 정부를 비판한 뒤, "지금에 있어서도 국민에 우려에 대해서 최대한 납득을 시킬 수 있는 그런 접근 방법을 취해야 된다"며 재협상을 거듭 주장했다.
그는 청와대가 마련중인 민심수습책의 방향과 관련해서도 "쇠고기는 강행하면서 장관 몇몇을 교체하고 청와대에 기능을 몇 개 보완을 해서 국민들에게 수용해 달라라고 요구하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오히려 상황을 악화 시킬 수 있다"며 "당장은 시급하게는 쇠고기 문제를 비롯한 그리고 지금 시급을 진압하면서 발생한 국민들이 국민의 걱정을 무시하고 국민을 누르려고 한다, 라는 이러한 당장에 악화된 시국을 안정시킬 수 있는, 현재 데모를 수습할 수 있는 시국 수습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남경필 의원은 2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작금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민심수습책과 관련, "다 바꿀 순 없더라도 대운하 문제, 일단 쇠고기 문제부터 정책의 변화가 시작이 필요하다"며 "그 중 핵심은 30개월 이상된 쇠고기를 수입을 어떻게 할 것이냐 이 문제를 바꿔내는 데부터 시작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남 의원은 재협상을 의미하냐는 질문에 "재협상이라고 할 수도 있고 추가협상이라고 할 수도 있다"며 "나는 미국을 충분히 설득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30개월 이상된 쇠고기 수입량이 결국은 5%도 안 된다"며 거듭 재협상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또 3일 정부과 장관고시를 관보에 게재하려는 데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밝히며 "지난 번 고시도 좀 빨랐다라고 생각하는데, 그 문제까지 포함해서 저희가 할 수 있는 이런 정부에 대한, 또 청와대에 대한 건의를 하겠다"며 "오늘 의총에서 문제제기를 하겠다"고 밝혔다.
원희룡 의원도 이날 불교방송 '유용화의 아침저널'과 인터뷰에서 작금의 쇠고기 파동과 관련, "우리 여당 입장에서는 쉽게 말씀을 드리면 정부가 사고를 쳤는데 같은 식구가 사고를 쳤다는 것 때문에 정부가 국제적인 협상을 뒤집는 게 불가능하다는 그 입장을 많이 의식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초반에 협정에 대한 국민들의 항의에 대해서 선택할 수 있는 폭 자체가 매우 좁았다"며 자성한 뒤,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안 된다, 일반적으로 밀고 가는 그게 맞는 게 아니고 국민의 우려를 최대한 반영을 해가지고 시도를 해 봐야 된다, 실제적인 재협상 노력을 하는 게 도리라고 생각한다"며 재협상을 주장했다.
그는 앞서 장관고시 강행때도 한나라당에서 반대 목소리가 있었음을 밝힌 뒤, "강행 하는 입장에서는 어차피 시위도 하루 이틀에 끝날 게 아닌 것 같기 때문에. 일단은 고시를 강행해 놓고 소나기를 한꺼번에 맞겠다, 이런 상황인 것 같은 그런 생각인 것 같다"며 "이런 것들이 정말 국민의 분노에 기름을 끼얹고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못 막는 그런 사태를 자꾸 자초하고 있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그는 30개월 이상 미국 쇠고기 수입과 관련해서도 "어차피 이것을 풀더라도 단기적으로 풀었어야 되는 거고 국민의 납득을 확보하면서 했어야 되는 건데..."라며 정부를 비판한 뒤, "지금에 있어서도 국민에 우려에 대해서 최대한 납득을 시킬 수 있는 그런 접근 방법을 취해야 된다"며 재협상을 거듭 주장했다.
그는 청와대가 마련중인 민심수습책의 방향과 관련해서도 "쇠고기는 강행하면서 장관 몇몇을 교체하고 청와대에 기능을 몇 개 보완을 해서 국민들에게 수용해 달라라고 요구하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오히려 상황을 악화 시킬 수 있다"며 "당장은 시급하게는 쇠고기 문제를 비롯한 그리고 지금 시급을 진압하면서 발생한 국민들이 국민의 걱정을 무시하고 국민을 누르려고 한다, 라는 이러한 당장에 악화된 시국을 안정시킬 수 있는, 현재 데모를 수습할 수 있는 시국 수습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