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정동영계-친노 충돌, 우리당 내홍 심화

비상의총 7일로 연기, 각 계파별 연쇄 대책회의

열린우리당이 오는 5일 예정됐던 의원-중앙위원 연속회의를 7일로 연기하기로 했다. 표면적 이유는 당내 의견을 수렴하기에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나, 실제 내용인즉 향후 당 헤게모니를 둘러싼 계판간 권력다툼의 성격이 짙다.

우리당 비상의총 5일서 7일로 연기한 속내

우상호 대변인은 2일 오전 브리핑을 통해 “지역에 있는 국회의원들이 선거패배 이후 낙선자들을 위로하고, 지지자들을 다시 일으켜 세우고 격려하는 뒷수습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시간을 달라고 요청한 분들이 많았다”고 연기 사유를 밝혔다.

허나 이것은 표면적인 이유일 뿐. 속내는 그렇지 않다. 당내 일정 세력을 유지하고 있는 정동영 계파가 "5. 31 지방선거의 책임을 정동영 한 사람에게만 지울 수 있냐"고 반발하고 나섰기 때문이라는 게 당내 전언이다.

정동영계는 특히 선거 기간 중 정동영 당의장의 ‘평화민주개혁세력 대연합론’을 문제 삼으며 당 의장에게 “당을 떠나라”고 해 당을 자중지란에 빠트린 김두관 최고위원도 동반책임을 져야 한다며 김 최고위원의 동반사퇴를 주장하고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특히 김 최고위원 등 친노계가 김근태 최고위원의 당의장직 승계를 주장하면서, 자신은 책임을 지지 않고 정동영만 제거하려 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1일 지도부 회의에서도 양측은 충돌했다.

김두관 최고위원은 "엄중한 상황에서 지도부 일괄사퇴보다는 김근태 최고위원이 승계하는 것이 당의 혼선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이라며, 자신을 포함한 최고위원 전원 사퇴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맞서 정동영계인 김혁규 최고위원은 "사상 최악의 여당 참패 상황에서 지도부 전원이 일괄 사퇴해야 한다"며 지도부 전원 사퇴를 주장, 두사람 간에 격론이 벌어졌다.

이에 당 중진 의원들이 나서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당의 안정적 모습"이라고 양측을 진정시키면서, 김근태 승계론에 힘이 실리는듯 싶었다. 그러나 1일 오후부터 당직을 갖고 있지 않은 의원들이 계파별, 선수(選數)별 모임을 가지면서 분위기가 서서히 반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선거 참패 책임론과 관련, 노무현대통령 및 친노파 책임이 크다는 여론조사 등이 나오고 '노무현당'의 이미지를 벗지 않는 한 당 재건이 힘들다는 여론이 확산되면서 김두관 최고위원 동반 퇴진론이 힘을 얻어가는 양상이다.

재선의원, 광장파, 참정연, 민평련 등 계파별 대책 숙의중

한편 어떻게 해야 당면한 위기를 돌파할 것인가를 놓고 우리당의 고민은 크다. 특히 고건 전총리가 신당 창당을 선언하고 나오면서 우리당의 위기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계파별 모임이 잇따라 열리는 등 우리당은 물밑에서 대단히 분주한 모습이다.

2일 아침 조배숙 최고위원과 정장선, 안영근, 이종걸 의원 등 당내 재선 의원들은 긴급 모임을 갖고 '김근태 승계론'과 '지도부 총사퇴' 방안을 놓고 논의를 벌였으나 뚜렷한 결론은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 중도 성향의 `무계파' 의원 40여명으로 구성된 의원모임 `소통과 화합의 광장'도 2일 저녁 시내에서 모임을 갖고 지도체제 문제를 논의한다. 당내 친노그룹 중 하나인 참여정치실천연대도 이날 저녁 모임을 갖고 대응 방안을 숙의한다.

김근태 최고위원의 의장직 승계 여부를 두고 의견이 반분된 재야파 의원들의 모임인 민평련은 일요일인 4일 저녁 김 최고위원이 함께 참석한 가운데 모임을 갖고 마지막 입장 정리에 나설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당내 일각에서는 조세형 상임고문 등 원외 원로들을 비대위에 모시자는 주장에서부터 전직 당 의장들로 비대위를 구성하자는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지고 있다.

새로운 당 지도부 선출 문제를 놓고 백가쟁명 식으로 의견이 분분한 열린우리당의 이런 모습은 어찌 보면 태생적 한계로 인한 필연이라 할 수 있다.

2003년 11월 11일 창당한 우리당은 1백 42명의 의원들이 ‘개혁 대 실용’, ‘친노(親盧) 대 비노(非盧)’, ‘개혁과 실용 & 친노 대 반노 관점 모두로부터 중도인 정동영계’로 각각 나뉘어져 사안 사안마다 계파 이해득실과 자신의 이해관계에 따라 각기 다른 주장을 펴오고 있다.

정가의 소식통들이 그들에게 한 목소리를 기대한다는 것은 연목구어라고 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5. 31 지방선거 이후 열린우리당이 결국은 분당 아니면 ‘헤쳐모여’식 길을 갈 수밖에 없다는 예측에 힘이 실리는 것도 그 때문이다.
정경희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