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간경쟁력은 상승. 정치-관료 경쟁력은 하락"
한국 국가경쟁력 세계 66개국 중 22위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 순위가 작년과 같은 2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경쟁력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관료 행정력이 하락한 결과다.
"민간 경쟁력은 상승, 정치-행정 경쟁력은 하락"
산업정책연구원(IPS)은 23일 국제경쟁력연구원(IPS-NaC)과 함께 발표한 IPS 국가경쟁력연구 2006' 보고서를 통해 세계 66개국을 대상으로 생산과 경영여건 등 물적요소, 근로자와 행정관료의 경쟁력 등 8개부문 2백75개 항목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48.63점을 얻어 작년과 같은 순위인 22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순위는 IPS 국가경쟁력연구 보고서 발표 첫해인 2001년에 22위였으나 2002년 24위, 2003년과 2004년에 25위로 하락세를 보이다 작년에 처음 상승했었다.
미국은 68.99점을 얻어 보고서 발간 이후 부동의 1위를 지켰고 네덜란드(68.51), 덴마크(65.32), 캐나다(64.86), 스웨덴(60.03)이 뒤를 이으며 2~5위를 차지했다. 아시아 국가 중에는 홍콩(58.08)이 8위에 올라 유일하게 10위안에 들었고 일본(53.36)이 16위, 중국(48.03)이 24위 등이었다.
연구원은 "우리나라 순위가 작년과 같은 것은 선진국형 경쟁력 구조를 강화하기 시작하면서 전반적인 경쟁력이 상승한 반면, 정치가 및 행정관료의 경쟁력 항목 등에서 순위가 하락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한국은 시장수요 요건에서 작년보다 5단계 오른 13위를 차지한 것을 비롯해 경영여건 30위(2단계 상승), 근로자 54위(7단계 상승), 전문가 15위(2단계 상승) 등으로 순위가 상승했다.
반면 정치가 및 행정관료 부문은 37위로 5단계 떨어졌고, 지원산업 23위(1단계 하락), 기업가 14위(3단계 하락), 생산요소조건 59위(2단계 하락) 등으로 하락했다.
산업연구원은 "이번 조사결과 시장수요요건과 전문가부문에서 상승세를 보임으로써 선진국형 경쟁력구조가 한층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 비중 증가, 고유의 디자인.브랜드 등을 갖춘 제품.서비스 창출 등 철저한 경쟁지향적 체제로 변화하는 것일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국가경쟁력 보고서는 국내외 통계자료와 코트라(KOTRA) 해외무역관을 통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민간 경쟁력은 상승, 정치-행정 경쟁력은 하락"
산업정책연구원(IPS)은 23일 국제경쟁력연구원(IPS-NaC)과 함께 발표한 IPS 국가경쟁력연구 2006' 보고서를 통해 세계 66개국을 대상으로 생산과 경영여건 등 물적요소, 근로자와 행정관료의 경쟁력 등 8개부문 2백75개 항목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48.63점을 얻어 작년과 같은 순위인 22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순위는 IPS 국가경쟁력연구 보고서 발표 첫해인 2001년에 22위였으나 2002년 24위, 2003년과 2004년에 25위로 하락세를 보이다 작년에 처음 상승했었다.
미국은 68.99점을 얻어 보고서 발간 이후 부동의 1위를 지켰고 네덜란드(68.51), 덴마크(65.32), 캐나다(64.86), 스웨덴(60.03)이 뒤를 이으며 2~5위를 차지했다. 아시아 국가 중에는 홍콩(58.08)이 8위에 올라 유일하게 10위안에 들었고 일본(53.36)이 16위, 중국(48.03)이 24위 등이었다.
연구원은 "우리나라 순위가 작년과 같은 것은 선진국형 경쟁력 구조를 강화하기 시작하면서 전반적인 경쟁력이 상승한 반면, 정치가 및 행정관료의 경쟁력 항목 등에서 순위가 하락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한국은 시장수요 요건에서 작년보다 5단계 오른 13위를 차지한 것을 비롯해 경영여건 30위(2단계 상승), 근로자 54위(7단계 상승), 전문가 15위(2단계 상승) 등으로 순위가 상승했다.
반면 정치가 및 행정관료 부문은 37위로 5단계 떨어졌고, 지원산업 23위(1단계 하락), 기업가 14위(3단계 하락), 생산요소조건 59위(2단계 하락) 등으로 하락했다.
산업연구원은 "이번 조사결과 시장수요요건과 전문가부문에서 상승세를 보임으로써 선진국형 경쟁력구조가 한층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 비중 증가, 고유의 디자인.브랜드 등을 갖춘 제품.서비스 창출 등 철저한 경쟁지향적 체제로 변화하는 것일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국가경쟁력 보고서는 국내외 통계자료와 코트라(KOTRA) 해외무역관을 통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