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10명중 4명만 일자리...관세협상으로 타격 더 커질듯
26년만에 최악의 취업난. 위기의 제조업-건설업 고용력 급감
여기에다가 한미관세협상에서 미국에 3천5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하면서, '해외로의 오프쇼어링(Offshoring)' 심화로 국내 일자리가 더욱 부족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
11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고용서비스 통합플랫폼 '고용24'를 이용한 7월 신규 구인 인원은 16만5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만4천명(16.9%) 감소했다.
반면에 '고용24'를 이용한 신규 구직 인원은 지난달 41만1천명으로 2만1천명(5.5%) 늘었다.
이로써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를 뜻하는 구인 배수는 0.40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동월(0.51)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1999년 7월(0.39) 이후 26년만에 7월 기준 최저치다.
이는 제조업 부진으로 제조업 분야에서 일자리 숫자가 줄고 있고, 제조업의 구인도 급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7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천559만9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8만명(1.2%) 증가했다. 그러나 코로나 시기를 빼면 증가 폭은 2003년 7월(10만6천명) 이후 가장 낮다.
업종별로 보면 서비스업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가 20만3천명 늘면서 견고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제조업과 건설업 가입자가 각각 5천명, 1만9천명 줄었다.
제조업 가입자 수는 384만6천명으로 자동차, 의약품, 식료품, 화학제품 등에서 증가했으나, 중국의 과잉공급으로 고통받는 금속가공, 섬유,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등은 줄었다.
문제는 한미 관세협상에서 미국에 조선업 1천500억달러 등 도합 3천500억달러 투자를 약속하면서 국내 일자리가 더욱 줄어들 개연성이 높아졌다는 대목이다.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자칫 우리 기업들 생산 기지가 해외로의 오프쇼어링(Offshoring)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온쇼어링(Onshoring)을 독려하는 전략을 세워서 구사를 해야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로 힘든 상황을 맞이한 산업·노동계에 또 다른 경쟁력 약화 요인이 내부에서 주어진다면 버티기 힘든 이중고로 인해 생산기지 해외 이전에 박차가 가해질 것”이라며 “산업 생태계와 노동자의 불안을 키우지 않는 방향으로 정책이 결정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