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생산 3.2%↑, 소비 1.9%↓. 12월 소비 더 급랭할듯
향후 경기전망, 5개월 연속 하락
11월 산업생산이 전월보다 3.2% 늘었으나 소비는 1.9% 감소하는 희비 쌍곡선을 그렸다.
30일 통계청의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1월 전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4.4(2015년=100)로 전월보다 3.2% 늘었다. 이는 작년 6월(3.9%) 이후 1년 5개월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10월 생산이 이틀의 대체공휴일 등으로 큰 폭으로 줄었던 데 대한 기저효과로, 11월에는 다시 생산이 큰 폭으로 반등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모두 늘었다.
제조업 생산은 5.3% 증가해 9월(-1.3%), 10월(-2.9%)의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끊었다. 자동차(11.3%) 생산이 1월(12.6%) 이후 가장 많이 늘었고 반도체(4.5%) 생산도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2.0% 늘어 10월(-0.4%)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했다. 숙박·음식업(5.6%), 금융·보험(3.0%), 예술·스포츠·여가(8.3%) 등이 늘었다.
설비투자는 10.9% 늘어 2014년 11월(12.0%)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건설기성도 2.4% 늘었다.
그러나 소비는 감소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119.1(2015년=100)로 전월보다 1.9% 감소했다. 지난해 7월(-6.1%) 이후 1년 4개월만에 최대 감소다.
가전제품 등 내구재가 3.2% 감소했고 의복 등 준내구재는 5.7% 줄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는 0.4%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4로 0.4포인트 상승하면서 9월(-0.1포인트), 10월(-0.2포인트)의 하락세를 끊었다.
하지만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3으로 0.4포인트 하락해 7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특히 12월에는 코로나19 재창궐로 위드코로나를 철회하고 다시 강도높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고 이같은 조치는 내년 1월에도 이어질 전망이어서, 더욱 소비 급랭이 가속화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30일 통계청의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1월 전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4.4(2015년=100)로 전월보다 3.2% 늘었다. 이는 작년 6월(3.9%) 이후 1년 5개월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10월 생산이 이틀의 대체공휴일 등으로 큰 폭으로 줄었던 데 대한 기저효과로, 11월에는 다시 생산이 큰 폭으로 반등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모두 늘었다.
제조업 생산은 5.3% 증가해 9월(-1.3%), 10월(-2.9%)의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끊었다. 자동차(11.3%) 생산이 1월(12.6%) 이후 가장 많이 늘었고 반도체(4.5%) 생산도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2.0% 늘어 10월(-0.4%)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했다. 숙박·음식업(5.6%), 금융·보험(3.0%), 예술·스포츠·여가(8.3%) 등이 늘었다.
설비투자는 10.9% 늘어 2014년 11월(12.0%)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건설기성도 2.4% 늘었다.
그러나 소비는 감소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119.1(2015년=100)로 전월보다 1.9% 감소했다. 지난해 7월(-6.1%) 이후 1년 4개월만에 최대 감소다.
가전제품 등 내구재가 3.2% 감소했고 의복 등 준내구재는 5.7% 줄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는 0.4%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4로 0.4포인트 상승하면서 9월(-0.1포인트), 10월(-0.2포인트)의 하락세를 끊었다.
하지만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3으로 0.4포인트 하락해 7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특히 12월에는 코로나19 재창궐로 위드코로나를 철회하고 다시 강도높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고 이같은 조치는 내년 1월에도 이어질 전망이어서, 더욱 소비 급랭이 가속화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