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영국 변이 바이러스 유입으로 전파력 높아질 수도"
"감염 재생산지수 0.4 정도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 나와"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28일 영국발 입국인 3명에게서 변종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과 관련,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 유입돼 유행할 경우에는 영국이 경험했던 것처럼 코로나19 전파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은경 본부장은 이날 오후 청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정례 브리핑을 통해 "영국에서 해당 바이러스로 인해 코로나19 전파력이 높아졌고, 감염 재생산지수도 0.4 이상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변이 바이러스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지 않도록 유입을 최대한 차단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확진자 1명이 주변의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현재 수도권의 재생산지수는 1.07 정도다. 현 수준에서 0.4가 더해질 경우 1명이 1.5명을 감염시키는 상태로 악화하면서 신규 확진자 규모가 폭증할 수 있다.
방대본은 영국발 변종 바이러스가 코로나 백신의 효능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김은진 질병관리청 검사분석1팀장은 "변이가 숙주세포 결합 부위에 생겼기 때문에 항체반응이나 병원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서 "다만 이에 대한 임상적 데이터가 아직 확보되지 못해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은경 본부장은 이날 오후 청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정례 브리핑을 통해 "영국에서 해당 바이러스로 인해 코로나19 전파력이 높아졌고, 감염 재생산지수도 0.4 이상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변이 바이러스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지 않도록 유입을 최대한 차단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확진자 1명이 주변의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현재 수도권의 재생산지수는 1.07 정도다. 현 수준에서 0.4가 더해질 경우 1명이 1.5명을 감염시키는 상태로 악화하면서 신규 확진자 규모가 폭증할 수 있다.
방대본은 영국발 변종 바이러스가 코로나 백신의 효능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김은진 질병관리청 검사분석1팀장은 "변이가 숙주세포 결합 부위에 생겼기 때문에 항체반응이나 병원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서 "다만 이에 대한 임상적 데이터가 아직 확보되지 못해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