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바이든, 전혀 중국과 관련한 발언 안했다"
"바이든의 인도태평양 발언은 지리적 표현" 주장
청와대는 12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문재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인도태평양 안보'를 강조해 '반중 봉쇄'를 주문한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낳고 있는 것과 관련,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바이든 당선인은 전혀 중국과 관련한 발언을 하지 않았고 그런 뉘앙스의 언급도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당선인은 ‘인도태평양의 안보와 번영’을 언급했다. ‘인도태평양’은 해당 지역을 지리적으로 표현한 것이지 ‘인도태평양 전략’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강 대변인은 한국이 인도태평양 '핵심축'임을 강조한 데 대해서도 "미국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오랫동안 사용해 왔다"며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 이외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따라서 ‘한미동맹’ vs ‘인도태평양’으로 방점이 달랐다는 일부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바이든 당선인은 '한국에 대한 방위공약을 확고히 유지하고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하는 등 한미동맹에 대해 문 대통령과 의견을 같이했다"고 주장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바이든 당선인은 전혀 중국과 관련한 발언을 하지 않았고 그런 뉘앙스의 언급도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당선인은 ‘인도태평양의 안보와 번영’을 언급했다. ‘인도태평양’은 해당 지역을 지리적으로 표현한 것이지 ‘인도태평양 전략’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강 대변인은 한국이 인도태평양 '핵심축'임을 강조한 데 대해서도 "미국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오랫동안 사용해 왔다"며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 이외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따라서 ‘한미동맹’ vs ‘인도태평양’으로 방점이 달랐다는 일부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바이든 당선인은 '한국에 대한 방위공약을 확고히 유지하고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하는 등 한미동맹에 대해 문 대통령과 의견을 같이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