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유엔 안보리, 이란 반발속 24일 추가제재안 채택키로

이란의 무기수출 금지와 제재 대상 확대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 유럽 3개국이 22일 우라늄 농축 활동을 계속하는 이란에 대한 추가 제재 수정안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정식 제출함에 따라 오는 24일 이 추가제재안이 채택될 전망이다.

23일 일본 <지지(時事)통신>에 따르면 3국의 유엔대사들은 이날 안보리 비공개 협의 후 24일 추가 제재 결의안의 표결을 요청하겠다는 방침을 밝혔고, 서방 주요국들의 지지를 얻고 있어 안보리 표결에서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들 3개국이 제출한 수정안은 남아공, 인도네시아, 카타르 등 비상임이사국 3국의 수정 요구를 받아 들여 문안을 소폭 조정한 것으로, 이란의 무기수출 금지와 제재 대상 확대 등 대부분의 주요 부분이 원안을 유지하고 있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이에 대해 남아공과 카타르 및 인도네시아 대사 등은 수정 요구가 전혀 반영하지 않았다고 불만을 토로한 뒤 투표에서 기권 혹은 반대할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추가 제재안이 만장일치로 채택되지 못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안보리는 23일 이들에 대한 설득 등 제재 결의안 통과를 위한 막바지 조율을 펼칠 예정이다.

이같은 안보리의 추가제재 움직임에 대해 이란은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전날 이슬람력 신년 연설을 통해 "서방이 우리를 위협하고 군사작전과 폭력을 사용해 맞서려 한다면 이란 정부가 가지고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할 것"이라며 "이란은 지금까지 (핵기술 개발과 관련한) 국제적 규제조치를 준수해왔지만, 안보리가 이란의 핵프로그램을 중단시키려고 불법적인 행동을 한다면 이란도 그렇게 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추가 제재 결의안 투표에 앞서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이 유엔 안보리에서 연설할 예정이어서, 이란과 국제사회간 막판 대화 및 조율 여부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