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총재 "가계부채, 임계수준에 가까이 가고 있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갈 가능성은 없어" 강변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가계 감내능력을 보면 가계부채를 유의해야겠단 생각이 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가계부채 증가율을 소득 증가율 이내로 억제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며 "가계부채 관리에 철저를 기하지 못했다는 게 과거의 교훈"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렇게 가계부채 급증을 우려하면서도 취임후 두차례나 기준금리 인하를 강행한 데 대해선 "금리 인하가 가계부채를 늘리는 쪽으로 작용하겠지만, 최근 경제상황에 비춰보면 일단 성장 모멘텀을 살리는 쪽의 효과가 더 크다"고 강변했다.
그는 가계부채가 한국 금융시스템을 마비시킬 수 있는 최대 시한폭탄이라는 국내외 경고에 대해선 "가계부채가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발전할 가능성은 없다"고 주장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역시 "가계부채에 대해선 경각심을 갖고 임하고 있다"면서도 "가계가 금융자산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 리스크로 갈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은 자료를 보면 금리를 25bp(0.25%포인트)를 내렸을 때 가계부채가 1년간 0.24% 늘어난다고 돼 있다"며 "금리 내리면 가계부채가 줄진 않지만, 그 양은 제한적"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