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 전 코레일사장 "철도파업은 정당"
"민영화 아니라는 정부 말은 정말 억지다"
참여정부때 코레일 사장을 지낸 이 전 사장은 이날 SBS라디오 '한수진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정부는 근로 조건이 파업목적이 아니라고 불법이라고 하지만, 수서발 KTX를 분리하거나 민영화하면 철도 경영에 영향을 미치니까 당연히 근로 조건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께서 후보 시절에 국민이 원하면 민영화는 절대 하지 않는다고 확실히 공약을 했다"며 "그런데 이 약속을 지키라고 요구하는 것은 국민으로서 당연한 요구"라고 박 대통령에게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그는 '민영화'가 아니라는 정부 주장에 대해선 "정부가 하는 이야기는 정말 억지다. 이익을 목표로 하는 투자를 받는 기관이면 민영화"라며 "이게 성공하면 흑자 나오는 회사는 재벌이나 민영 체제로 가고 적자 노선은 폐지하거나 엄청난 적자를 세금으로 메워줄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
그는 또 "수익성 위주, 경쟁 체제로 가니까 안전 투자는 줄어들고 서민 교통비는 엄청나게 늘어날 것"이라며 "절대 선진국은 절대 이렇게 하지 않는다. 모두 공익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가는데 우리나라는 왜 철도 후진국의 모습으로 가려고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그는 정부와 코레일의 강경대응에 대해서도 "저런 식으로 잠시 승리할지 모른다. 그런데 이 평지풍파는 정부가 일으켰다. 그런데 정부가 이렇게 강경하게 나서서 싹쓸이 하려면 다음엔 틀림없이 엄청난 부담을 가져올 것"이라며 "정부에게도 절대로 좋은 해결 방법이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그는 대학생 대체인력 투입에 대해서도 "자격이 없는 대학교 1~2학년이 했던 모양인데 이건 불법이다. 파업을 하니까 할 수 없이 불법으로 대체인력을 투입했다는건 설명이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