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4월9일부터 순차적 온라인 개학", 또 등교 연기
대학수능시험도 연기 시사. 교육계 혼란 가중
정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연간 수업 일수와 입시 일정을 고려할 때 아이들의 학습권을 포기하고 무작정 개학을 연기하기는 쉽지 않아 대안으로 온라인 형태의 개학을 유력하게 고려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오는 4월 6일까지 2차례 연기했던 개학을 사실상 추가 연기하며, 대신 4월 9일부터 순차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하겠다는 것.
정 총리는 그러면서 "시험과 입시 일정도 그에 맞춰 조정될 것"이라고 말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도 시사했다.
하지만 각 학교의 온라인 수업 준비가 제대로 돼 있지 않고, 빈곤가정의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을 받기 위한 디지털 기기 등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 혼란이 예상된다.
정 총리는 이에 대해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며 "최소한 모든 아이들에게 단말기와 인터넷 접속이 보장돼야 하고, 적응기간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문제점을 시인했다.
정 총리는 그러면서 "지난주부터 지역사회와 교육계, 학부모들께서 어떻게 생각하고 계시는지 다양한 방법으로 의견을 들었다"며 "아직 아이들을 등교시키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많은 분의 의견이고 방역 전문가들의 평가 또한 다르지 않다"고 연기 사유를 설명했다.
정 총리는 "그동안 감염 위험을 대폭 낮추기 위해 방역 역량을 총동원해 노력했지만 아이들이 안심하고 등교할 수 있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했다"며 "이 점에 대해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정부는 이렇듯 등교 연기를 선택했으나 이미 90%의 학원들이 생존상의 이유를 내세워 학원 문을 열고 있으며, 일부 상류층 자녀의 경우 학원선생과 고액의 '1대 1 온라인 강의'를 받는 등 교육 양극화 현상도 나타나고 있어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