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훈 "한국의 '대중에 의한 뒷조사'에 매우 충격"
"한국정치와 뿌리깊은 관료주의 알았다면 장관급 거절했을 것"
20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김 전 후보자는 지난 18일(현지시각) <조선>과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약 2주간 한국 사회 한복판에 있으면서 한국의 '한쪽이 피를 봐야 하는 정치'(blood sport politics)와 뿌리깊은 관료주의는 나 같은 외부인을 받아들여 새 부처의 임무를 수행하도록 놔두지 않을 것임을 깨달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내가 진짜 비판받아야 할 것은 한국 정치에 대해 너무 순진하게 생각했다는 점"이라며 "한국의 정치와 관료주의가 나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자, 다른 모든 사람과 새 부처의 이익을 위해 가능한 한 빨리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이건 비즈니스 의사 결정 같은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자신의 사생활과 관련한 인터넷 루머에 대해선 "완전히 근거가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명하는 데 아까운 시간을 쓸 생각도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한국에서 ‘대중(大衆)에 의한 뒷조사 과정’에 매우 충격을 받았다"며 "내 가족에 대한 추측성 주장이 나오는 것은 특히 불쾌했다. 어떻게 내 아내를 성매매업소 운영과 연결하는 기괴한 주장을 할 수 있나. 나는 한국의 역동적인 문화를 사랑하지만 이런 건 상관없는 것"이라고 불쾌감을 나타냈다.
그는 CIA 자문위원을 지낸 데 대해선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나는 미국에서 중앙정보국(CIA) 외부자문위원회(External Advisory Board) 위원으로 (2007년부터) 활동했다. 이를 위해서는 철저한 신원조회와 거짓말탐지기 테스트까지 통과해 아주 높은 등급의 허가증을 받아야 한다"며 "그리고 이 허가증을 갖고 있는 동안 전문 수사관이 주기적으로 나의 납세 실적, 사생활, 언행을 조사한다. 나는 이런 과정을 거쳐 오랜 기간 허가증을 유지했고, 이번에 한국에 가기 전에 자발적으로 (허가증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