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8월 경제지표 급속 악화, 경기전망도 암울

제조업 가동률, 3년3개월만에 최저

8월 생산ㆍ소비, 투자 등 실물경제 지표가 전월보다 일제히 나빠졌다.

광공업 지표는 3개월째 부진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3년3개월 만에 최저치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미래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모두 전월보다 감소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으로는 8월 광공업 생산이 제조업(-0.9%) 부진 탓에 전월보다 0.7% 감소했다.

광공업생산은 전월 대비로 6월 -0.5%, 7월 -1.9%에 이어 3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광공업을 비롯해 서비스업(-0.3%)과 건설업(-6.6%), 공공행정(-13.8%) 등이 모두 전월 대비로 부진해 이 4개 부문을 합친 전(全)산업생산은 1.7% 감소했다. 전산업생산은 작년 동월 대비로도 0.2% 줄었다.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3.8%로 2009년 5월 73.6% 이후 3년3개월 만에 가장 낮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5포인트, 앞으로의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2포인트 각각 떨어졌다.

기획재정부는 기저효과가 일부 나타난 상황에서 자동차 업계 파업, 태풍 등 일시적 요인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가령 서비스업생산은 전월 대비로 7월에 0.7% 오른 탓에 8월에 0.3% 감소했다.

7~8월을 함께 보려고 8월 수치를 6월과 비교하면 서비스업생산은 0.4% 증가했다. 소매판매 역시 전월대비로 7월에 많이 오른 탓에 8월에 감소세를 보였지만 6월과 비교하면 소폭 증가했다.

파업으로 8월에 자동차 11만6천대의 생산이 차질을 빚은 것이 광공업생산에 -1.8%포인트 내외의 영향을 준 것으로 기재부는 추산했다. 이를 제외하면 8월 광공업생산은 1% 이상 증가했을 것으로 봤다.

8월 말 태풍 볼라벤과 덴빈이 연이어 우리나라에 상륙한 것이 생산, 설비투자, 건설투자에 악영향을 줬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업종별 제조업 생산은 전월 대비로 자동차(-17.3%), 기계장비(-4.7%), 금속가공(-6.1%) 등이 감소했고 반도체 및 부품(9.1%), 의복 및 모피(15.3%), 의약품(3.0%) 등은 증가했다.

생산자제품 출하는 전월 대비로 자동차(-15.9%), 석유정제(-10.5%), 기계장비(-7.3%)가 감소하면서 3.1% 줄었다. 작년 동월과 비교해도 1.0% 낮았다.

내수출하는 전월보다 4.9%, 수출 출하는 1.0% 모두 감소했다.

생산자제품 재고는 전월보다 4.7% 증가했다. 자동차(-3.9%), 금속가공(-2.0%), 음료(-7.7%) 등이 줄었지만 반도체 및 부품(11.9%), 석유정제(28.5%), 화학제품(5.4%)이 늘었기 때문이다.

제조업 재고율은 116.8%로 전월보다 8.7%포인트 상승했다. 제조업 재고출하순환을 보면 출하의 증가폭은 줄었지만 재고의 증가폭은 확대된 모습이었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전월과 같았고, 작년 같은 달보다 3.4% 증가했다. 제조업 가동률지수는 전월보다 4.2%, 작년 8월보다 6.8% 모두 감소했다.

8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로 하수ㆍ폐기물처리(-3.7%), 도소매(-1.9%) 등의 부진으로 0.3% 감소했다. 작년 같은 달보다는 0.6% 늘었다.

8월 소매판매액지수는 의복 등 준내구재(-5.1%), 승용차 등 내구재(-3.5%),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1.4%)가 모두 줄면서 전월보다 3.0% 감소했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도 0.3% 줄었다.

8월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13.9%나 급감했다. 전월 대비 감소율은 지난 2003년 1월 -15.2% 이후 9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국내 기계수주는 작년 같은 달보다 16.1% 감소했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과 토목공사의 부진으로 전월보다 6.6% 감소했고, 작년 8월보다도 7.3% 줄었다.

건설수주(경상)는 재개발, 발전 등은 늘었지만 기계설치, 연구소, 신규 주택 등은 감소해 작년 같은 달보다 29.9% 줄었다.

기재부는 세계경제의 둔화 우려가 이어지면서 국내 소비ㆍ투자심리가 위축돼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