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다급해진 이라크 정부, "수니파-바트당 포용"

후세인 사형 선고후 폭력사태 급증에 당황

이라크 정부가 사담 후세인 전 대통령의 사형 선고에 대해 수니파가 강력반발하는등 혼란이 가중되자 수니파와 과거 바트당원의 사면복권을 추진하는 등 수니파 포용 정책에 나섰다.

6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시아파 주도의 이라크 정부는 이날 수니파에 대해 사면 복권, 공직 복귀 등 대대적 양보안을 제시했다. 이라크 정부의 제안은 최근 미국 정부가 과거 바트 당원들의 파면을 중단하고 복권을 허가해 달라는 요구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군은 이라크 침공 한 달 만인 지난 2003년 5월 바트당을 강제 해산했지만 이후 과거 이라크 정부 고위 경찰 간부들을 치안 경찰에 고용하는 등 수니파를 포용하기 위한 당근정책을 펴왔다. 후세인 대통령이 축출될 당시 바트당 당원은 2천7백만 이라크 전체 인구 중 1백50만 명 수준이었으며 미군의 바트당 해산 당시 1만3백2명의 바트당 고위 관리들이 해고됐다.

이같은 이라크 정부의 러브콜에 대해 이라크 최대 수니파 단체인 ‘이라크 이슬람’의 아마르 와지흐는 “바트 당원들도 직장에 복귀할 권리가 있는 것이므로 이 같은 제안은 이라크인 모두에게 관심사가 될 것”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그러나 이날도 바그다드는 물론 이라크 전역에서 시위와 무력 충돌이 이어졌다. 시아파 거주 지역인 바그다드 남부 힐라에서는 5백여 명의 시위대가 사형 선고에 찬성하는 시위를 가진 반면 수니파 지역인 바쿠바와 사마라에서는 수백 명의 후세인 지지자들이 이라크 군과 경찰과 충돌했다.

미군은 이날 5명의 추가 미군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밝혔으며 후세인의 사형 선고가 내려진 이후 이틀 동안 59구의 시신이 발견돼는 등 통행금지 실시에도 불구하고 폭력사태가 끊이질 않고 있다.
임지욱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