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4대강 준설토 축소 의혹
장마기 맞아 홍수 우려 제기되자 기준 바꿔 규모 축소
9일 MBC <뉴스데스크>에 따르면, 4대강살리기 추진 본부가 발표한 준설토 양은 들쭉날쭉이어서 준설토 양을 의도적으로 축소해 발표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지난 달 23일 작성된 지역 국토관리청의 내부 문건에 따르면, 낙동강 15개 공구에 410만7천 세제곱미터의준설토가 있다고 돼 있다. 그러나 일주일 뒤 문건에는 5개 공구에 58만9천 세제곱미터의 준설토만 남아 있다. 일주일 만에 무려 15톤 트럭 40만대 분량이 치워진 셈.
하지만 이 많은 준설토를 치운 게 아니고 집계하는 기준만 달라진 것이다.
낙동강 OO공구의 현장 소장은 "우기를 맞아서 관리를 하면서 개념을 더 엄정히 정의하고 들어갔다고 보시면 됩니다. 가적치 물량이 바뀐 건 아니고요,바뀐 건 아니고..."라며 실제로 준설토를 치운 게 아니라 통계 기준만 바꿨음을 시인했다.
23일 당시에는 둔치 투기장에 모아둔 준설토까지 통계에 넣었다가 30일에는 투기장 준설토는 홍수에 지장이 없다며 제외시킨 것. 이때문에 낙동강의 한 공사구간에는 아직도 20만 세제곱미터의 준설토가 쌓여있지만, 30일 문건에는 없는 걸로 돼 있다. 이렇게 새로운 기준으로 집계된 통계가 언론에도 발표됐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투기장에 쌓아둔 준설토는 안전하다는 주장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박창근 교수(관동대 토목공학과)는 "쌓아놓은 만큼 홍수 소통공간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홍수위험이 더 커진다고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가 집계에서 빼버린 투기장 내 준설토까지 포함할 경우, 남아 있는 준설토의 양은 정부가 집계한 것보다 최소 2배이상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MBC는 전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