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SBS "출근시간에 차는 1만대, 자전거는 35대"

"서울 자전거도로, 목숨 걸고 타야"

SBS가 11일 작심하고 이명박 정부와 오세훈 서울시장의 야심작인 서울 자전거도로의 문제점을 질타하고 나섰다.

SBS <8뉴스>는 이날 두건의 기사를 통해 서울 자전거도로의 위험성과, 이에 따른 이용객 부재에도 교통난을 가중시키며 계속 자전거도로를 늘려나가는 서울시를 질타했다.

우선 서울 자전거도로 현황과 관련, 한 시민단체 조사 결과 교차로나 골목길 진입 등으로 인해 자전거 통행이 단절되는 곳은 서울시내에만 모두 111곳에 달하며 거기다 한쪽 방향에만 설치돼 있는 자전거 도로를 이용하려면 아찔한 역주행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안전시설도 태부족이어서, 차로와 자전거 도로를 분리하는 안전 펜스는 없는 곳이 대부분이고, 자동차와 만나는 교차로 같은 곳에도 자전거를 위한 신호등이나 표지는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김영복 초록자전거물결운동 서울본부장은 인터뷰에서 "목숨을 담보로 타야 된다면 국민들이 접근하기에 곤란하지 않느냐"며 "이런 부분들은 빨리 개선이 되야 된다"고 지적했다.

SBS는 "자전거 사고는 갈수록 늘어난다"며 "지난 2006년 7,900여건에서, 자전거도로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지난 2008년에는 10,980건, 지난해에는 12,700건으로 무려 59%나 급증했다"며 자전거도로 건설후 사고가 폭증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SBS는 후속기사를 통해 "이렇게 자전거 도로가 위험하다 보니 이용자가 거의 없는 실정인데, 보완도, 대책도 없이 곳곳에 이렇게 부실한 자전거 도로만 계속 더 늘고 있다"며 구체적 사례들을 소개했다.

SBS는 대표적 사례로 교통체증에 몸살을 앓고 있는 반면 자전거도로만 시원하게 뚫려 있는 천호대로 현황을 소개했다. SBS 조사에 따르면, 출근 시간대 이곳을 지나는 차량은 1만대가량, 하지만 자전거는 고작 35대에 불과했다.

또 다른 지역인 경복궁 옆 자전거 도로는 아예 관광버스들의 차지라며, 한 관광버스 기사의 "어디 가서 주차할 공간이 없으니까 어쩔 수 없이 알면서 주차하고 있습니다"라는 불가피한 사연을 전했다.

이성렬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연구원은 "주거지를 중심해서 점차 확대해 나가는 방향이 필요한데요. 실제 현재 정책들은 간선도로 중심으로 해서 전시행정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며 서울시의 전시행정을 꼬집었다.

그럼에도 서울시는 2012년 말까지 모두 1,145억원을 들여 시내 주요 간선도로에 207km의 자전거 도로를 더 만들 계획이라고 SBS는 질타했다.
김혜영 기자

댓글이 7 개 있습니다.

  • 0 0
    중산층

    서울이 아직도 일류도시가 아니면 현시장과 바로 이전 서울시장은 그동안 뭐했데유?
    외국인을 위한 보이기 행정만 하면 그속에 살고 있는 주인인 서울시민은 뭐가 좋아진데유?

  • 0 0
    ㅋㅋㅋ

    위험하긴 개뿔 ㅋㅋ 떳떳하게 당당하게 자전거 타라 괜히 쫄다가 사고난다 난 쩟쩟하게 1차선 독점할려고 넓직하게 타고 다닌다 그 덕분에 사고 안나 ㅋㅋㅋ

  • 0 0
    낙산

    우째 선거때만 되면 지대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일라고 할꼬.. 쯧쯧..

  • 2 1
    사기군들

    SBS 가 정상이 아닌데......ㅉㅉㅉ......나는 믿지 않는다...나는 믿지 않는 무슨 또 꼼수를 쓰려고 ..니들 믿음 안가는 TV 챈ㄴ널이잖아...ㅉㅉ

  • 9 0
    허허........

    화가 나야 정상인데 이제 이정도는 무덤덤하군.........

  • 11 0
    보도블럭

    건설로 경기를 부양하는것은 1940-50년대 발상인데, 말로는 서울을 초일류 도시로 만들어야 된다고 떠들면서도 하는짓은 온통 1940-50년대식이다. 이게 초일류냐? 서울시민으로써 챙피해서 외국인들 앞에서 고개를 못들 지경이다.

  • 14 0
    지나가다

    첫 단추를 잘 못 꿰면 마지막 단추까지 잘 못 꿸 수 밖에 없습니다. 자전거 문제는 시작부터 잘 못 되었기 때문에 하루 이틀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죠. 1,145억원이 아니라 그보다 훨씬 많은 돈을 들여도 드러나는 효과는 미미할 것입니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이거 그냥 놔두고 자전거에 백날 돈 써봐야 꽝이죠.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