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美본토 타격가능한 '대포동X' 추진"
<요미우리> 보도, "구소련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기술 응용"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은 26일 북한이 미국 국토 전체를 사정으로 하는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대포동 X' 개발 계획을 수립했다고 보도했다.
이 소식을 전한 <요미우리신문>은 북한이 이같은 ‘대포동 X’계획을 세웠지만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계획 추진이 난관에 놓였을 수도 있다는 분석도 함께 제기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국제 사회에 제기돼온 북한의 미 국토 전역에 대한 공격능력 확보 노력, 북한의 대포동 2호 및 대포동 X 미사일 등 북한의 미사일 개발 현황과 개발 능력 및 향후 북한의 움직임과 함께 그동안 이미 알려졌던 북한의 미사일 능력을 '새로운 위협'으로 부각시키고 있는 미국과 일본 정부의 의도 등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정보당국, 대포동 X 정보 수집 등 경계 강화 나서
26일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에 따르면 미국 의회조사국과 유럽 군사분석기관의 최신 보고서의 최근 북한 정세 분석 결과, 북한은 미국 국토 전체를 사정으로 하는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대포동 X' 를 개발할 계획이며 이 미사일에 대한 정보를 수집중인 미국 정보당국은 이 미사일을 '대포동 X'라고 부르면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미 의회조사국 등의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미국 전역이 사정에 들어가는 ICBM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대포동 X는 대포동 2호보다 사정을 늘리고 명중도를 높인 개량형으로 추정된다.
구체적인 기술정보는 없지만 1990년대에 북한에 유출된 것으로 알려진 옛 소련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SSN6'을 본체의 일부로 사용했거나 대포동 2호에 SSN6 기술을 가미해 재설계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다만 미국 전토가 사정에 들어가는 1만㎞ 이상의 ICBM을 만들기 위해서는 미사일 본체 외에 핵탄두의 소형, 경량화가 필요하고, 또 대기권을 넘어 목표에 도달하는 ICBM이 대기권에 재진입할 때 고열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북한의 실제 개발이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북한은 아직 이런 기술을 보유하지 못했다는 분석이 많지만 SSN6 유출로 이런 기술이 북한에 들어갔을 것이라는 우려도 국제 무기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나오고 있다.
현재 발사설이 나돌고 있는 대포동 2호도 애초 ICBM이라는 분석이 있었다는 점에서 이같은 분석은 주목을 받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대포동 2호에는 2단식과 3단식이 있으며 이번에 북한이 발사 움직임을 보이며 액체연료를 주입중인 것으로 알려진 미사일은 사정이 짧은 2단식이기 때문에 ICBM이 아니라 사정 5천㎞ 미만의 중거리 미사일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을 전했다.
"'대포동 X'는 실험발사 통해 신뢰성 입증 못한 단계"
이와 관련 최근 미 몬테레이 국제연구소 비확산연구센터(CNS)가 지난 3월 북한의 탄도미사일 현황과 개발 움직임 및 주변국들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이미 북한의 미국 전역을 사정거리로 하는 탄도미사일 개발 움직임을 지적했다는 사실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CNS는 당시 발간을 통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았던 '북한의 탄도미사일 능력에 관한 특별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대포동 X' 미사일은 소련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S-N-6(R27)에 기초한 이 모델이 액체연료를 사용하고 사정거리가 4천km까지 넓어진 육지 발진의 이동형 미사일"이라며 "그러나 '대포동 X'는 아직은 실험발사를 통해 그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북한은 적은 수의 이같은 대포동 X 미사일을 배치했을지도 모르지만 아직까지 이 미사일들을 시험발사하지 않고 있다"며 "북한의 과거 행태에 비춰볼 때 북한은 어떤 탄도 미사일의 시험 발사도 미국, 일본, 한국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시기를 조절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CNS는 "북한은 신뢰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 체계를 개발, 배치하기 위해 추가적인 발사실험이 필요하지만 지난 98년 실패 경험 등과 함께 중국과 한국 등 주요 지원국가들과의 불화를 일으킬 가능성 등을 고려해 북한이 장거리 발사실험을 주저해왔다"며 "북한은 일본을 위험 속에 둠으로써 향후 분쟁 발발 시 북한 미사일이 미군의 일본 기지 사용을 막을 수 있기를 바라는 한편 미 본토를 공격할 수 있는 ICBM과 핵무기를 개발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미국의 개입 가능성과 핵무기의 사용을 저지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소식을 전한 <요미우리신문>은 북한이 이같은 ‘대포동 X’계획을 세웠지만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계획 추진이 난관에 놓였을 수도 있다는 분석도 함께 제기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국제 사회에 제기돼온 북한의 미 국토 전역에 대한 공격능력 확보 노력, 북한의 대포동 2호 및 대포동 X 미사일 등 북한의 미사일 개발 현황과 개발 능력 및 향후 북한의 움직임과 함께 그동안 이미 알려졌던 북한의 미사일 능력을 '새로운 위협'으로 부각시키고 있는 미국과 일본 정부의 의도 등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정보당국, 대포동 X 정보 수집 등 경계 강화 나서
26일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에 따르면 미국 의회조사국과 유럽 군사분석기관의 최신 보고서의 최근 북한 정세 분석 결과, 북한은 미국 국토 전체를 사정으로 하는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대포동 X' 를 개발할 계획이며 이 미사일에 대한 정보를 수집중인 미국 정보당국은 이 미사일을 '대포동 X'라고 부르면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미 의회조사국 등의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미국 전역이 사정에 들어가는 ICBM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대포동 X는 대포동 2호보다 사정을 늘리고 명중도를 높인 개량형으로 추정된다.
구체적인 기술정보는 없지만 1990년대에 북한에 유출된 것으로 알려진 옛 소련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SSN6'을 본체의 일부로 사용했거나 대포동 2호에 SSN6 기술을 가미해 재설계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다만 미국 전토가 사정에 들어가는 1만㎞ 이상의 ICBM을 만들기 위해서는 미사일 본체 외에 핵탄두의 소형, 경량화가 필요하고, 또 대기권을 넘어 목표에 도달하는 ICBM이 대기권에 재진입할 때 고열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북한의 실제 개발이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북한은 아직 이런 기술을 보유하지 못했다는 분석이 많지만 SSN6 유출로 이런 기술이 북한에 들어갔을 것이라는 우려도 국제 무기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나오고 있다.
현재 발사설이 나돌고 있는 대포동 2호도 애초 ICBM이라는 분석이 있었다는 점에서 이같은 분석은 주목을 받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대포동 2호에는 2단식과 3단식이 있으며 이번에 북한이 발사 움직임을 보이며 액체연료를 주입중인 것으로 알려진 미사일은 사정이 짧은 2단식이기 때문에 ICBM이 아니라 사정 5천㎞ 미만의 중거리 미사일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을 전했다.
"'대포동 X'는 실험발사 통해 신뢰성 입증 못한 단계"
이와 관련 최근 미 몬테레이 국제연구소 비확산연구센터(CNS)가 지난 3월 북한의 탄도미사일 현황과 개발 움직임 및 주변국들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이미 북한의 미국 전역을 사정거리로 하는 탄도미사일 개발 움직임을 지적했다는 사실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CNS는 당시 발간을 통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았던 '북한의 탄도미사일 능력에 관한 특별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대포동 X' 미사일은 소련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S-N-6(R27)에 기초한 이 모델이 액체연료를 사용하고 사정거리가 4천km까지 넓어진 육지 발진의 이동형 미사일"이라며 "그러나 '대포동 X'는 아직은 실험발사를 통해 그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북한은 적은 수의 이같은 대포동 X 미사일을 배치했을지도 모르지만 아직까지 이 미사일들을 시험발사하지 않고 있다"며 "북한의 과거 행태에 비춰볼 때 북한은 어떤 탄도 미사일의 시험 발사도 미국, 일본, 한국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시기를 조절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CNS는 "북한은 신뢰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 체계를 개발, 배치하기 위해 추가적인 발사실험이 필요하지만 지난 98년 실패 경험 등과 함께 중국과 한국 등 주요 지원국가들과의 불화를 일으킬 가능성 등을 고려해 북한이 장거리 발사실험을 주저해왔다"며 "북한은 일본을 위험 속에 둠으로써 향후 분쟁 발발 시 북한 미사일이 미군의 일본 기지 사용을 막을 수 있기를 바라는 한편 미 본토를 공격할 수 있는 ICBM과 핵무기를 개발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미국의 개입 가능성과 핵무기의 사용을 저지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