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환율로 큰 이익 본 대기업, 이익 나눠줘라"
환율 인상 혜택본 대기업의 미온적 화물운송료 인상 질타
홍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물류대란 대책 관련 긴급 당정회의에서 인사말을 통해 "환율이 100원 높아지면 대기업은 조 단위의 이익을 보는데, 이것을 서민에게 돌려주는 공생공존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며 "(대기업이) 화물회사를 설립해 하청을 주고 재하청을 주는 식으로 영세 업체들의 운송비를 현실화시켜주기 못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대기업들을 질타했다.
그는 이어 "고통분담 차원에서 화주들, 특히 재벌기업들과 환율 인상으로 혜택을 많을 보는 대기업들은 (이익을) 나눠줘야 한다"며, 운송료 인상에 미온적 태도를 보여 화물연대 파업을 장기화하고 있는 대기업들이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을 주문했다.
그는 또 "물류체계를 개선하지 않고는 화물연대 파업의 근본 해결책이 없다"며 "정부가 제시한 유가보조금 인상은 (문제 해결의) 핵심에 해당하지 않는 미봉책으로 지입차 제도를 개선하고, 화물업 종사자들이 다단계.하도급 구조로 인해 (전체 운송대금의) 30-40%를 `거간꾼'들에게 떼이는 수임구조를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화물업계에서는 관행적으로 운송료의 10% 가량을 위탁 수수료로 공제하는데, 3∼4 단계의 위탁을 거치며 운전자들이 실제로 받는 돈은 화주가 낸 운송료의 60∼70%에 불과한 실정이다.
그는 "`운송 거간꾼'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한 방안을 입법을 통해 해결할 것이며, 6월 임시국회가 열리면 이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임태희 정책위의장도 "당장 벌어진 사태를 수습하면서도 근본적 해결책이 제시돼야 할 것"이라며 "화물연대와 화주간 관계를 `자율성'에만 맡겼을 때 과연 공정한 것인 지 생각하고, 제도적.법적 보완을 반드시 이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