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 사진작가 故김수남 기념사업회 발족
평생 한국과 아시아의 민속 굿판 담아...김인회.유홍준 등 참여
지난 1월 태국에서 급서한 굿사진 전문 사진작가 김수남을 기리는 기념사업회가 발족된다.
내년 1월 1주기 맞춰 기념사업회 공식 출범
기념사업회 발기인으로는 김인회 전 연세대교수, 유홍준 문화재청장, 채희완 부산대 교수, 김민기 학전 대표 등 40여명이 참여하며 21일 오후 2시30분 프레스센터 19층 목련실에서 발기인 모임을 가질 예정이다.
발기인들은 내년 1월 고인의 1주기에 맞춰 기념사업회를 공식 출범시킬 예정이다.
1949년 제주에서 태어난 김수남씨는 연세대 지질학과, <동아일보> 사진부를 거쳐 70년대말부터 우리나라 방방곡곡을 돌며 굿 사진을 찍어왔다.
전국방방 곡곡의 굿판을 렌즈에 담아 20권짜리 사진총서 <한국의 굿>(열화당)을 펴내 지난해에는 <굿, 영혼을 부르는 소리>로 압축 출간되기도 했다. 또 <한국의 탈〉, 〈한국의 탈춤〉, 〈장승제〉, 〈풍물굿〉, 〈호미씻이〉 등의 사진집을 펴냈다. 그러나 1월4일 태국에서 현지 부족의 신년축제를 찍다가 뇌출혈로 별세했다.
1970년대말 굿과 접한 이후 틈날 때마다 전국의 굿판을 찍으러 다니면서 굿에 관한 사진들을 남겼던 작가는 80년대 중반부터는 아시아의 굿판을 사진에 담아왔다.
내림굿을 받고 무아지경에서 고개를 젖힌 채 춤추는 무속인, 망자의 한을 풀기 위해 매듭을 풀고 있는 씻김굿, 시퍼런 물결이 일렁이는 바다에서 수호신에게 인사드리려 배를 띄운 어민 등 한국민속 굿판의 현장을 땀방울로 담은 그의 작품은 국제무대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한국의 산하와 아시아 전역을 대상으로 무속, 민속, 탈, 탈춤의 사진을 수록하고 전공학자들의 해설이 있는 책을 펴내 1995년 7월에는 아시아의 무당과 민속을 기록한 성과로 일본에서 국제사진상인 히가시가와(東川) 사진작가 상을 받았다.
또 독일 베를린(2005), 함부르크(1998)에서 초대전을 여는 등 한국의 민속기록을 해외에 널리 소개해 한국사진의 국제화에도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아왔고, 작년 7월에는 ‘빛과 소리의 아시아'전을 열고 아시아 8개국 11개 문화권의 ‘소리'를 주제로 한 사진 700여 장을 선보여 호평을 받았다.
매년 6개월씩 태국·베트남·중국의 소수민족 굿과 축제를 찍으러 해외 출장을 다녔던 김씨는 작년 12월21일 태국 치앙라이의 리수 족 신년맞이 축제를 사진에 담다가 갑자기 뇌출혈 증상이 와서 현지 병원에 입원한 뒤 사망, 위독 소식을 듣고 태국으로 떠날 준비를 하던 유족들에게 비보를 전하기도 했다.
사망 당시 김수남씨의 개인전‘한국의 굿; 만신들 1978~1997’이란 회고전’을 열고 있던 경기도 양평 갤러리 와에서는 김씨 사망 후 전시회를 추모전 형식으로 연장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발기인으로 참여하는 김인회 전 연세대 교수는 “그의 사진작업과 〈한국의 굿〉 총서가 속속 출간됨에 따라 제주도.황해도.동해안.진도 등등 각 지역의 무속과 무당들이 국가에 의해 무형문화재 인간문화재로 지정되는 범위가 넓어져갔고, 작년에는 강릉 단오제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부끄럽고 천한 부분문화로 무시당해 오던 우리나라 무속의 사회적 문화적 위상이 달라지기 시작했다”며 “한국 무속문화의 위상 변화과정에서 김수남은 사진으로 그런 문화운동의 선두주자 역할을 했다”고 추모했다.
김 전교수는 “그는 1980년대 후반부터 아시아 문화와 사람들의 사귐의 장을 새롭게 연 선두주자가 되었고, 이제 21세기 아세아의 시대를 열어가야 할 우리는 이제 그가 시작하고 이루어놓은 미완의 작업에서 실로 중요한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며 “좁은 땅 안에서 복닥거리며 싸우고 있는 우리를 깨우쳐 눈을 크게 뜨고 멀리 넓은 세상을 바라보게끔 만드는 그의 사진들이 우리들에게 문화적 보물로 남겨져 있다는 사실은, 이 시대와 다음시대 사람들에게 커다란 축복이 아닐 수 없다”고 김씨를 기렸다.
내년 1월 1주기 맞춰 기념사업회 공식 출범
기념사업회 발기인으로는 김인회 전 연세대교수, 유홍준 문화재청장, 채희완 부산대 교수, 김민기 학전 대표 등 40여명이 참여하며 21일 오후 2시30분 프레스센터 19층 목련실에서 발기인 모임을 가질 예정이다.
발기인들은 내년 1월 고인의 1주기에 맞춰 기념사업회를 공식 출범시킬 예정이다.
1949년 제주에서 태어난 김수남씨는 연세대 지질학과, <동아일보> 사진부를 거쳐 70년대말부터 우리나라 방방곡곡을 돌며 굿 사진을 찍어왔다.
전국방방 곡곡의 굿판을 렌즈에 담아 20권짜리 사진총서 <한국의 굿>(열화당)을 펴내 지난해에는 <굿, 영혼을 부르는 소리>로 압축 출간되기도 했다. 또 <한국의 탈〉, 〈한국의 탈춤〉, 〈장승제〉, 〈풍물굿〉, 〈호미씻이〉 등의 사진집을 펴냈다. 그러나 1월4일 태국에서 현지 부족의 신년축제를 찍다가 뇌출혈로 별세했다.
1970년대말 굿과 접한 이후 틈날 때마다 전국의 굿판을 찍으러 다니면서 굿에 관한 사진들을 남겼던 작가는 80년대 중반부터는 아시아의 굿판을 사진에 담아왔다.
내림굿을 받고 무아지경에서 고개를 젖힌 채 춤추는 무속인, 망자의 한을 풀기 위해 매듭을 풀고 있는 씻김굿, 시퍼런 물결이 일렁이는 바다에서 수호신에게 인사드리려 배를 띄운 어민 등 한국민속 굿판의 현장을 땀방울로 담은 그의 작품은 국제무대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한국의 산하와 아시아 전역을 대상으로 무속, 민속, 탈, 탈춤의 사진을 수록하고 전공학자들의 해설이 있는 책을 펴내 1995년 7월에는 아시아의 무당과 민속을 기록한 성과로 일본에서 국제사진상인 히가시가와(東川) 사진작가 상을 받았다.
또 독일 베를린(2005), 함부르크(1998)에서 초대전을 여는 등 한국의 민속기록을 해외에 널리 소개해 한국사진의 국제화에도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아왔고, 작년 7월에는 ‘빛과 소리의 아시아'전을 열고 아시아 8개국 11개 문화권의 ‘소리'를 주제로 한 사진 700여 장을 선보여 호평을 받았다.
매년 6개월씩 태국·베트남·중국의 소수민족 굿과 축제를 찍으러 해외 출장을 다녔던 김씨는 작년 12월21일 태국 치앙라이의 리수 족 신년맞이 축제를 사진에 담다가 갑자기 뇌출혈 증상이 와서 현지 병원에 입원한 뒤 사망, 위독 소식을 듣고 태국으로 떠날 준비를 하던 유족들에게 비보를 전하기도 했다.
사망 당시 김수남씨의 개인전‘한국의 굿; 만신들 1978~1997’이란 회고전’을 열고 있던 경기도 양평 갤러리 와에서는 김씨 사망 후 전시회를 추모전 형식으로 연장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발기인으로 참여하는 김인회 전 연세대 교수는 “그의 사진작업과 〈한국의 굿〉 총서가 속속 출간됨에 따라 제주도.황해도.동해안.진도 등등 각 지역의 무속과 무당들이 국가에 의해 무형문화재 인간문화재로 지정되는 범위가 넓어져갔고, 작년에는 강릉 단오제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부끄럽고 천한 부분문화로 무시당해 오던 우리나라 무속의 사회적 문화적 위상이 달라지기 시작했다”며 “한국 무속문화의 위상 변화과정에서 김수남은 사진으로 그런 문화운동의 선두주자 역할을 했다”고 추모했다.
김 전교수는 “그는 1980년대 후반부터 아시아 문화와 사람들의 사귐의 장을 새롭게 연 선두주자가 되었고, 이제 21세기 아세아의 시대를 열어가야 할 우리는 이제 그가 시작하고 이루어놓은 미완의 작업에서 실로 중요한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며 “좁은 땅 안에서 복닥거리며 싸우고 있는 우리를 깨우쳐 눈을 크게 뜨고 멀리 넓은 세상을 바라보게끔 만드는 그의 사진들이 우리들에게 문화적 보물로 남겨져 있다는 사실은, 이 시대와 다음시대 사람들에게 커다란 축복이 아닐 수 없다”고 김씨를 기렸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