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광복절 특사 최대 피해자는 李대통령"
"이익 위해 한 것 아니야, 고뇌 어린 결단 내린 것"
우 수석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광복절 특별 사면 결정 과정과 배경을 설명하며 이같이 말하며 "이익을 위해 한 것이 아니고, 피할 수 없다면 이번에 할 수밖에 없다고 해서 고뇌 어린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 수석은 "정치인 사면은 사면 발표 며칠 전에 논의를 시작했다"며 "대통령과 친분이 있고 측근이 정권교체 됐다고 해서 바로 사면하는 것은 제외한다는 제외 원칙부터 정했다. 그래서 이화영 같은 분이 제일 먼저 제외됐다”고 밝혔다.
이어 "각 당에서 요구한 사회통합 차원을 우선 반영했고, 지난번 선거에서 선거법 위반을 했는데 다음 선거때 나오도록 배려하는 건 취임 첫 사면에서 하지 않는다는 원칙으로 선거법 관련자는 제외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사면에 대해선 "대통령 임기 중에 조국 전 대표 사면을 피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정무적 판단을 먼저 했다"며 "그럼 어느 시기가 바람직하냐를 두고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어차피 한다면 취임 초에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해서 사면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면) 여파에 대해서도 보고했다. '민생사면의 빛이 바래고 지지율도 4~5%포인트 빠질 건데 감수하겠냐'고 했을 때 (이 대통령이) 고민했고, 휴가 중 연락이 와서 '피해가 있더라도 해야 할 일은 하자'고 해서 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 대통령 지지율 급락에 대해선 "인사문제에서 생긴 아픈 측면, 정치인 사면에서 왔던 국민들의 일부 실망감,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의 여러 구설수가 생길 때 지지율 하락이 온 것"이라며 "어떤 요인이든 지지율이 빠졌다는 건 국민 일부가 지지를 철회했다는 것이고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갈등 사안, 찬반 나눠진 사안에서 가능한 빠져나와서 주로 민생, 경제, 정상회담 등 국가적 국익 위한 행보, 국민 삶 돌보는 일에 집중할 것"이라며 "한미, 한일 정상회담을 마치고 돌아오면 9월 초부터 타운홀 미팅도 재개하고 대통령실 중심으로 다시 민생안전과 경제살리기 프로그램 최우선으로 계획을 짜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대야 관계에 대해서는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끝나고 신임 지도부가 들어서면 어떤 형태로든 다시 대통령실과 야당과의 대화를 시작할 것"이라며 "한일.한미 정상회담 이후에 이런저런 계획들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