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삼성전자 지분도 인수 추진. '강탈' 논란도
삼성전자-TSMC-마이크론에 지원금 주는 대신 지분 요구
<로이터통신>은 19일(현지 시각) 소식통의 말을 빌어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이 인텔에 이어 미국 반도체 업체인 마이크론은 물론, 미국에 공장이 있는 한국의 삼성전자, 대만의 TSMC에도 투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전일 미국 행정부가 100억달러를 투자, 인텔의 지분 10%를 인수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마이크론, 삼성전자, TSMC 등은 바이든 행정부에서 제정된 반도체 법(칩스법)에 따라 지원금을 받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트럼프가 취임하기 전인 지난해 말 삼성전자에 47억5천만달러, 마이크론에 62억달러, TSMC에 66억 달러의 보조금을 각각 확정했었다. 그러나 아직 보조금 상당이 지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원금을 대가 없이 주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지원금을 주는 대신 주식을 내놓으라는 것으로 해석돼, 일각에선 '주식 강탈'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보도 내용에 대해 TSMC는 논평을 거부했으며 마이크론, 삼성전자, 백악관은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인텔 지분 10% 인수 추진을 확인하며 "대통령은 국가 안보와 경제적 관점 모두에서 미국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며 "이를 위해 이전에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