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5.18묘역서 무릎 꿇고 “100번 사과해야 마땅"
사과문 발표하며 울먹이기도. 학생들 "망언의원 제명부터 하라"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취임 이후 처음으로 광주를 방문,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뒤 방명록에 "5·18 민주화 정신을 받들어 민주주의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고 적은 뒤 자신이 직접 작성한 사과문을 '민주의 문' 앞에서 낭독했다.
그는 "5.18 민주 영령과 광주 시민 앞에 굳이 이렇게 용서를 구한다”며 "부끄럽고 부끄럽고 죄송하고 또 죄송하다. 너무 늦게 찾아왔다. 벌써 100번 사과하고 반성했어야 마땅한데 이제야 그 첫걸음을 떼었다”며 말문을 열었다.
우선 자신의 전두환 국보위 전력에 대해 “비상계엄이 전국으로 확대된 1980년 5월 17일 저는 대학 연구실에 있었다. 그 이틀 전 학생들이 시위를 중단할 거란 방송을 듣고 밀려있는 강의 준비에 열중하던 중이었다. 광주에서 발포가 있었고 희생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은 얼마간 시간이 지난 뒤에야 알게 됐다"며 "위법 행위의 직접 참여도 문제지만 알고도 침묵하거나 눈감은 행위, 적극 항변하지 않는 소극성 역시 적지 않은 잘못이다. 역사의 법정에선 이것도 유죄”라고 울먹였다.
이어 “신군부가 집권하고 만든 재무분과위원(국보위 전문위원)으로 참여했다”며 "그동안 여러 기회를 통해 그 과정과 배경을 말하며 용서를 구했지만 결과적으로 상심에 빠진 광주 시민, 군사 정권을 반대하며 힘든 국민들께서 쉽게 용납하기 어려운 선택이었다. 다시 한번 이에 대해 사죄 말씀 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는 나아가 통합당 일각의 5.18 망언에 대해서도 “광주에서 그런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났음에도 그것을 부정하고 5월 정신을 훼손하는 일부 사람들의 어긋난 행동에 우리당이 엄정한 회초리를 못 들었다. 일부 정치인들까지 그에 편승하는 태도를 보였다"며 "표현의 자유란 명목으로 엄연한 역사적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동안의 잘못된 언행에 당을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진실한 사과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역사의 화해는 가해자의 통렬한 반성과 고백을 통해 가장 이상적으로 완성될 수 있는데 권력자의 진심어린 성찰을 마냥 기대할 수 없는 형편에서 그 시대를 대표해 제가 이렇게 무릎을 꿇는다”면서 “5.18 묘역에 잠든 원혼의 명복을 빈다. 아물지 않은 상처를 보듬고 사는 유족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민주화 유공자 여러분에게도 진심 어린 감사와 존경의 말씀을 드린다. 제 미약한 발걸음이 역사의 매듭을 풀고 과거가 아닌 미래를 향해 나가는 작은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후 추모탑에 헌화하고 15초가량 무릎을 꿇고 묵념했다. 보수정당 대표가 추모탑 앞에서 무릎을 꿇은 것은 김 위원장이 처음이다.
그는 이어 윤상원·박기순 열사 묘역에 이어 행방불명자 묘역에서도 묵념하고 헌화했다
이에 한 시민은 “감사하다. 대표 말씀이 다 맞다”며 "왜 고문 당해 죽었는가 하나도 밝혀진 게 없다. 지금까지 통합당이 이만큼도 도와주지 않았다. 우리가 괴물이냐. 지만원이 거기 편승해서 이런 못 된 짓꺼리 하는. 40년이 흘러도 한이 맺힌다. 저도 정신병이다. 잠을 못잔다.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그러나 다른 시민은 "망언 의원부터 제명해야 하는 거 아니냐”고 소리지르며 항의했다. 한국대학생진보연합도 '미래통합당은 망언의원 3명 제명부터 하고 참배하라’, '미래통합당은 참배가 아닌 진정한 사죄부터 해야한다’는 피켓을 들고 "제명을 해야 이곳에 와서 참배할 자격이 있다”며 “5.18 역사왜곡 지금 당장 사죄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