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 사채업자들의 '신체포기각서' 공개
<쩐의 전쟁>, ‘고리대 대응가이드’ 5탄 발표
‘3년새 원금 7백만원이 3천만원으로 늘고, 빚 갚기 위해 몸 팔라고 강요하고, 남편 빚 대신 갚으라며 폭행하고...’
민주노동당이 7일 사채업의 세계를 다룬 SBS 드라마 <쩐의 전쟁>과 관련 불법 사채업 피해에 대한 대응법 5탄을 발표했다.
<쩐의 전쟁>은 6일 방송분에서 주인공 금나라가 사채업에 시달리다 자살한 아버지의 신체포기각서를 확인하는 장면을 방영했다. 민노당 경제민주화운동본부는 이와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몇 년간 일어난 실제 불법채권 추심 사례를 공개하며 정부당국의 처벌 및 단속강화를 촉구했다.
운동본부는 “서민들이 ‘쩐의 전쟁’에서 느끼는 불안감은 대부업체와 사채업자들이 법망을 무시하며 이용자의 한계상황을 이용해 비정상적인 대출과 빚 독촉을 일삼기 때문”이라며 “사채 빚 때문에 전재산을 날리고 자살한 아버지, 2천만원을 빌리고 1억원을 갚아야 하는 조폭, 빚 갚으라며 윤락을 강요하는 사채업자의 모습은 일반인의 상식의 한계를 뛰어넘는다”고 지적했다.
운동본부는 또 “현실에서는 연66%의 합법적 고금리마저 무시하는 폭리 대출, “몸 팔라”는 협박, 빚을 갚으려 유흥업소에 취직했다가 더 많은 사채 빚을 뒤집어쓰기, 가족의 채무를 빌미로 폭행 등 고리대와 불법추심이 판을 치고 있다“며 정부의 실효성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다음은 민노당이 발표한 ‘대응책’ 5탄.
▶연166%의 고리대에 선이자·수수료 강요, “몸 팔라” 협박까지
자영업에 종사하던 박미란씨(가명. 서울 중랑)는 운영자금조달과 기존채무의 이자상환을 위해 2006년 2월24일 등록대부업체를 방문했다. 500만원 대출에 수수료 및 선이자 100만원을 제한 400만원을 받고, 매일 3만8500원씩 150일 동안 일수 형식으로 갚기로 했다(금융감독당국의 계산법에 따르면 금리는 연166%로 대부업법상의 연66% 금리상한 위반,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박씨가 76회 변제 후 연체를 시작하자, 대부업자는 “몸을 팔아서라도 갚으라”며 갖은 욕설, 폭언, 협상을 했다. 결국 박씨는 500만원을 다시 대출 받았고, 이 때도 직원식사비를 포함해 수수료 105만원을 제했다.
▶3년만에 원금 700만원이 3,000만원으로
경남 창원에서 포장마차를 하는 배진환씨(가명)는 두 아이를 키우며 어려운 살림살이를 했다. 불경기 탓에 매상이 줄었고, 금융권에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해 신용불량자가 됐다. 배씨는 생활비, 아이의 학비, 가게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두 명의 사채업자에게 돈을 빌렸다.
2004년부터는 포장마차의 매출이 급격하게 떨어져 임대료를 내기도 어려워졌다. 사채업자는 채권을 다른 곳에 팔아버렸고, 이 때부터 배씨는 추심업자의 횡포에 시달렸다. 채권을 넘겨받은 추심업자는 배씨의 가게에 찾아와 “안 갚으면 알아서 하라”는 위협과 함께 침을 뱉는 등 살벌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배씨가 처음 빌린 돈은 700만원에 불과했지만, 채권자들은 빚이 3,000만원으로 불었다며 각서를 요구했다. 결국 3년 만에 원금 700만원이 3,000만원으로 늘어난 것이다.
▶대형 대부업체도 불법추심
보험설계사로 재직하던 이민선씨(가명)는 신용카드 연체를 면하기 위해 2003년 대출중개인을 통해 대형대부업체에서 연66%의 금리로 550만원을 대출받았다. 당시 중개인은 110만원을 수수료로 챙겼고(수수료 수취는 불법 대부업으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이씨는 매달 30만원을 이자로 납부했다.
이씨의 연체가 시작되자 대부업체는 문자나 전화를 수시로 보내다가, 이른아침 집으로 찾아와서 새로 대출을 강요했다. 본인이 없는 시간에 이씨 집에 전화를 걸어 아이에게 집주소와 엄마의 휴대폰 번호 등을 물었고, 두 명의 추심원이 이씨를 찾아와 1시간동안 “이 자리에서 아무 데나 전화 걸어 돈을 빌리라”고 협박했다.
추심원들은 이씨의 모친, 언니, 동생에게 채무사실을 알렸고, 이씨의 가족들은 전화 받기를 두려워할 정도에 이르렀다.
▶대부업체 빚 갚으려 유흥업소 취직
윤미진씨(20대. 가명. 서울 성북)는 2001년 저축은행과 대부업체에서 900만원을 빌려 열대어 노점상을 시작했지만 실패하고, 700만원의 빚만 남겼다. 윤씨는 신용카드 현금서비스로 돌려막기를 했지만 이자만 늘어났고, 채무상환을 위해 2002년 선불금 9백만원을 받고 유흥주점에 취직했다.
윤씨는 며칠 뒤에 업소를 탈출했으나 붙잡혀 감금당했고, 유흥주점 사장은 어머니와 협상을 통해 1300만원을 받고 윤씨를 풀어줬다. 2003년까지 윤씨는 카드빚 등을 갚기 위해 새벽에는 녹즙 배달, 오후에는 옷가게 점원을 하다가 스트레스로 인한 대상포진에 걸렸다. 김씨는 자신 때문에 가족들이 금융권의 전화와 방문추심으로 고통 받는 것을 보고, 집에서 나와 친척집에 무상으로 거주했다.
▶남편 빚 갚으라며 폭행
김명자씨(50대. 가명. 경기 고양)는 2007년 5월27일 저녁 8시40분경 일본계 대형대부업체의 추심원이 찾아와 문을 열어달라고 요구했다.
김씨가 문을 조금 여는 순간, 추심원은 강제로 들어오더니 남편 빚을 대신 갚으라면서, 집안 집기에 딱지를 붙이겠다고 협박하며 공포심을 조성했다(가재도구 압류는 추심원이 아니라 법원 집행문을 부여받은 집행관만 할 수 있다).
김씨는 집에 14개월 된 손자와 단 둘만 있던 터라 무서운데다가 아이가 심하게 울기에 추심원에게 집밖으로 나갈 것을 요구했다. 추심원은 실랑이 끝에 김씨의 오른뺨을 때리고 팔을 비틀었다. 김씨는 무단침입, 퇴거불응, 폭행, 불법추심 죄로 추심원을 고소한 상태다.
▶고리대·불법추심 판쳐도 정부는 없다?
고리대와 불법추심이 판치는 이유는 정부가 대부업체에 연66%의 폭리를 보장하면서도, 서민피해 방지를 위한 금리 인하나 불법 처벌에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대부시장의 피해사례가 급증하고 있지만 금융감독당국은 금리상한을 연60%(시행령상 연50%대)로 ‘무늬만 인하’만 고집하고 있고, 관리·감독권은 전문성과 인력이 부족한 지방자치단체로 떠넘겼다.
한편 민주노동당 경제민주화운동본부는 과중채무자를 대상으로 피해구제 상담활동(02-2139-7853~4)과 금리규제 강화 등 제도개선운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인터넷 상담실(http://minsaeng.kdlp.org)도 운영 중이다.
또 지난 5월 29일부터 전북지역을 시작으로 한 달간 ‘고리대 추방과 고금리 인하를 위한 민생탐방’에 들어갔다.
민주노동당이 7일 사채업의 세계를 다룬 SBS 드라마 <쩐의 전쟁>과 관련 불법 사채업 피해에 대한 대응법 5탄을 발표했다.
<쩐의 전쟁>은 6일 방송분에서 주인공 금나라가 사채업에 시달리다 자살한 아버지의 신체포기각서를 확인하는 장면을 방영했다. 민노당 경제민주화운동본부는 이와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몇 년간 일어난 실제 불법채권 추심 사례를 공개하며 정부당국의 처벌 및 단속강화를 촉구했다.
운동본부는 “서민들이 ‘쩐의 전쟁’에서 느끼는 불안감은 대부업체와 사채업자들이 법망을 무시하며 이용자의 한계상황을 이용해 비정상적인 대출과 빚 독촉을 일삼기 때문”이라며 “사채 빚 때문에 전재산을 날리고 자살한 아버지, 2천만원을 빌리고 1억원을 갚아야 하는 조폭, 빚 갚으라며 윤락을 강요하는 사채업자의 모습은 일반인의 상식의 한계를 뛰어넘는다”고 지적했다.
운동본부는 또 “현실에서는 연66%의 합법적 고금리마저 무시하는 폭리 대출, “몸 팔라”는 협박, 빚을 갚으려 유흥업소에 취직했다가 더 많은 사채 빚을 뒤집어쓰기, 가족의 채무를 빌미로 폭행 등 고리대와 불법추심이 판을 치고 있다“며 정부의 실효성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다음은 민노당이 발표한 ‘대응책’ 5탄.
▶연166%의 고리대에 선이자·수수료 강요, “몸 팔라” 협박까지
자영업에 종사하던 박미란씨(가명. 서울 중랑)는 운영자금조달과 기존채무의 이자상환을 위해 2006년 2월24일 등록대부업체를 방문했다. 500만원 대출에 수수료 및 선이자 100만원을 제한 400만원을 받고, 매일 3만8500원씩 150일 동안 일수 형식으로 갚기로 했다(금융감독당국의 계산법에 따르면 금리는 연166%로 대부업법상의 연66% 금리상한 위반,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박씨가 76회 변제 후 연체를 시작하자, 대부업자는 “몸을 팔아서라도 갚으라”며 갖은 욕설, 폭언, 협상을 했다. 결국 박씨는 500만원을 다시 대출 받았고, 이 때도 직원식사비를 포함해 수수료 105만원을 제했다.
▶3년만에 원금 700만원이 3,000만원으로
경남 창원에서 포장마차를 하는 배진환씨(가명)는 두 아이를 키우며 어려운 살림살이를 했다. 불경기 탓에 매상이 줄었고, 금융권에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해 신용불량자가 됐다. 배씨는 생활비, 아이의 학비, 가게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두 명의 사채업자에게 돈을 빌렸다.
2004년부터는 포장마차의 매출이 급격하게 떨어져 임대료를 내기도 어려워졌다. 사채업자는 채권을 다른 곳에 팔아버렸고, 이 때부터 배씨는 추심업자의 횡포에 시달렸다. 채권을 넘겨받은 추심업자는 배씨의 가게에 찾아와 “안 갚으면 알아서 하라”는 위협과 함께 침을 뱉는 등 살벌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배씨가 처음 빌린 돈은 700만원에 불과했지만, 채권자들은 빚이 3,000만원으로 불었다며 각서를 요구했다. 결국 3년 만에 원금 700만원이 3,000만원으로 늘어난 것이다.
▶대형 대부업체도 불법추심
보험설계사로 재직하던 이민선씨(가명)는 신용카드 연체를 면하기 위해 2003년 대출중개인을 통해 대형대부업체에서 연66%의 금리로 550만원을 대출받았다. 당시 중개인은 110만원을 수수료로 챙겼고(수수료 수취는 불법 대부업으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이씨는 매달 30만원을 이자로 납부했다.
이씨의 연체가 시작되자 대부업체는 문자나 전화를 수시로 보내다가, 이른아침 집으로 찾아와서 새로 대출을 강요했다. 본인이 없는 시간에 이씨 집에 전화를 걸어 아이에게 집주소와 엄마의 휴대폰 번호 등을 물었고, 두 명의 추심원이 이씨를 찾아와 1시간동안 “이 자리에서 아무 데나 전화 걸어 돈을 빌리라”고 협박했다.
추심원들은 이씨의 모친, 언니, 동생에게 채무사실을 알렸고, 이씨의 가족들은 전화 받기를 두려워할 정도에 이르렀다.
▶대부업체 빚 갚으려 유흥업소 취직
윤미진씨(20대. 가명. 서울 성북)는 2001년 저축은행과 대부업체에서 900만원을 빌려 열대어 노점상을 시작했지만 실패하고, 700만원의 빚만 남겼다. 윤씨는 신용카드 현금서비스로 돌려막기를 했지만 이자만 늘어났고, 채무상환을 위해 2002년 선불금 9백만원을 받고 유흥주점에 취직했다.
윤씨는 며칠 뒤에 업소를 탈출했으나 붙잡혀 감금당했고, 유흥주점 사장은 어머니와 협상을 통해 1300만원을 받고 윤씨를 풀어줬다. 2003년까지 윤씨는 카드빚 등을 갚기 위해 새벽에는 녹즙 배달, 오후에는 옷가게 점원을 하다가 스트레스로 인한 대상포진에 걸렸다. 김씨는 자신 때문에 가족들이 금융권의 전화와 방문추심으로 고통 받는 것을 보고, 집에서 나와 친척집에 무상으로 거주했다.
▶남편 빚 갚으라며 폭행
김명자씨(50대. 가명. 경기 고양)는 2007년 5월27일 저녁 8시40분경 일본계 대형대부업체의 추심원이 찾아와 문을 열어달라고 요구했다.
김씨가 문을 조금 여는 순간, 추심원은 강제로 들어오더니 남편 빚을 대신 갚으라면서, 집안 집기에 딱지를 붙이겠다고 협박하며 공포심을 조성했다(가재도구 압류는 추심원이 아니라 법원 집행문을 부여받은 집행관만 할 수 있다).
김씨는 집에 14개월 된 손자와 단 둘만 있던 터라 무서운데다가 아이가 심하게 울기에 추심원에게 집밖으로 나갈 것을 요구했다. 추심원은 실랑이 끝에 김씨의 오른뺨을 때리고 팔을 비틀었다. 김씨는 무단침입, 퇴거불응, 폭행, 불법추심 죄로 추심원을 고소한 상태다.
▶고리대·불법추심 판쳐도 정부는 없다?
고리대와 불법추심이 판치는 이유는 정부가 대부업체에 연66%의 폭리를 보장하면서도, 서민피해 방지를 위한 금리 인하나 불법 처벌에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대부시장의 피해사례가 급증하고 있지만 금융감독당국은 금리상한을 연60%(시행령상 연50%대)로 ‘무늬만 인하’만 고집하고 있고, 관리·감독권은 전문성과 인력이 부족한 지방자치단체로 떠넘겼다.
한편 민주노동당 경제민주화운동본부는 과중채무자를 대상으로 피해구제 상담활동(02-2139-7853~4)과 금리규제 강화 등 제도개선운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인터넷 상담실(http://minsaeng.kdlp.org)도 운영 중이다.
또 지난 5월 29일부터 전북지역을 시작으로 한 달간 ‘고리대 추방과 고금리 인하를 위한 민생탐방’에 들어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