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실업자 1~9월 IMF사태후 최다. 실업급여 벌써 5조 지급
실업자 112만명·구직단념자 51만6천명으로 역대급 수준
28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분석해보니 구직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장기실업자'는 올해 1∼9월 평균 15만2천 명이었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만명(6.9%) 늘었다.
1∼9월 기준 장기실업자 수는 현재와 같은 기준으로 통계를 작성한 1999년 6월 이후 올해가 가장 많았다.
외환위기의 충격이 남아 있던 2000년 1∼9월 장기실업자도 14만2천명으로 올해 1∼9월보다 적었다.
올해 1∼9월 실업자 수는 111만7천 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만1천명 늘었다.
비교 가능한 통계가 제공되는 최근 19년 사이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100명 단위에서 반올림해서 1천 명 단위까지만 표기했으므로 각 연도에 표기된 수치를 토대로 계산한 결과와 표에 나타난 증감 및 증감률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오랜 구직 활동에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이들이 취업을 포기하는 사례도 속출했다.
올해 1∼9월 구직단념자는 월평균 51만6천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만1천명(6.5%) 늘었다.
현재와 같은 기준으로 구직단념자 수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1∼9월 구직단념자 수는 올해가 가장 많았다.
2018년 10월 1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실업급여 설명회장이 실업급여 신청자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실업자를 위한 공적 지출 역시 기록적으로 늘었다.
한국고용정보원 통계를 분석하면 올 1∼9월 실업급여 지급액은 약 5조377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작년 같은 기간에 지급한 실업급여(약 4조929억원)보다 약 9천448억원(23.1%) 많았다.
※100명 단위에서 반올림해서 1천 명 단위까지만 표기했으므로 각 연도에 표기된 수치를 토대로 계산한 결과와 표에 나타난 증감 및 증감률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고용지표 악화는 한국경제의 구조적 어려움과 맞물려 악순환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계절조정, 속보)은 전분기보다 0.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기와 비교한 실질 GDP 성장률은 올해 1분기에는 1.0%를 기록했지만 2분기 0.6%로 축소한 후 두 분기 연속 0%대에 머물렀다.
전년 동기대비 성장률은 3분기에 2.0%를 기록해 9년 만에 가장 낮았다.
투자 부진의 영향이 컸다.
올해 3분기 설비투자는 전분기보다 4.7% 줄어들며 2분기(-5.7%)에 이어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건설투자는 전분기 대비로 6.4% 감소했다. 1998년 2분기 6.5% 줄어든 후 최근 20년여 사이에는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수출 동향도 우려를 낳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을 보면 지난달 수출물량지수는 153.96(2010년=100)으로 작년 9월보다 5.2% 줄었다. 올해 2월(-0.9%)에 이어 7개월 만에 감소했다.
반도체 수출은 늘고 있으나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반도체의 전년 동기 대비 수출 증가율은 작년 9월 73.4%에서 점차 하락해 올해 9월에는 27.7%로 내렸다.
일자리 상황이 좋지 않은 가운데 민간소비도 좀처럼 활기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전분기와 비교한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 1분기 0.7%, 2분기 0.3%, 3분기 0.6%로 세 분기 연속 1%를 밑돌았다.
작년에는 민간소비 증가율이 1분기 0.5%, 2분기 1.0%, 3분기 0.8%, 4분기 1.0%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