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다스는 누구 거냐', 종착역 향하고 있어"
"이동형 진술 사실이라면 최대 주주는 MB"
더불어민주당은 13일 이동형 다스 부사장이 ‘이상은 회장의 다스 지분이 실제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소유’라고 진술했다는 보도와 관련, “‘다스는 누구 겁니까’로 대표되는 다스 실소유주 찾아주기 운동이 종착역을 향하고 있다”고 반색했다.
백혜련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사실이라면 47% 지분을 소유한 ‘실질적인’ 최대 주주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처럼 다스의 실소유주가 밝혀지면 다스의 비자금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주머니’에 들어갔는지도 드러난다”며 “검찰은 기존의 120억 비자금 외에 추가로 최소 수십억 원에서 최대 100억 원 이상의 비자금이 조성된 정황을 포착했다. 추가 비자금의 존재는 개정된 형사소송법에 따라 15년의 공소시효 적용을 받아 횡령죄로 처벌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추가 조성된 비자금의 조성 시기 규명 및 포괄일죄 인정 요건인 ‘범죄 의도의 단일성, 시간적·공간적 연관성’을 소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며 “종착역이 보이는 만큼, 검찰은 더욱 철저하고 면밀한 수사로 국민적 의혹을 모두 해소해주길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백혜련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사실이라면 47% 지분을 소유한 ‘실질적인’ 최대 주주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처럼 다스의 실소유주가 밝혀지면 다스의 비자금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주머니’에 들어갔는지도 드러난다”며 “검찰은 기존의 120억 비자금 외에 추가로 최소 수십억 원에서 최대 100억 원 이상의 비자금이 조성된 정황을 포착했다. 추가 비자금의 존재는 개정된 형사소송법에 따라 15년의 공소시효 적용을 받아 횡령죄로 처벌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추가 조성된 비자금의 조성 시기 규명 및 포괄일죄 인정 요건인 ‘범죄 의도의 단일성, 시간적·공간적 연관성’을 소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며 “종착역이 보이는 만큼, 검찰은 더욱 철저하고 면밀한 수사로 국민적 의혹을 모두 해소해주길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